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초강어부(楚江漁夫)[백운처사경독가라(운처사경독가라) 1 페이지 / 전적]

초강은 지금의 양자강을 말하며, 초강어부는 굴원이 지은 <어부사>에 등장하는 상강(湘江)의 어부를 말한다.

초개(草芥)[안심가 12 페이지 / 전적]

지푸라기와 같은 하찮은 것의 비유.

초개(草芥)[시절가 6 페이지 / 전적]

풀과 티끌을 아울러 이르는 말. 지푸라기. 쓸모없고 하찮은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초객(楚客)[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23 페이지 / 전적]

「楚客悲」― 逐臣의 설움을 말함. 楚人屈原의 추방에 근본된 것임.

초객(楚客)[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26 페이지 / 전적]

「楚客情」― 屈原의 離騷에 「恐鵜鴂之先鳴兮 使父百草爲之不芳」이란 句가 있는데 註에「대개 鴂과 鵙의 聲이 相近하여 通用된 것이다 陰氣가 다가오면 먼저 울어 풀이 죽는다」라 하였음.

초견(初見)[합강정가(合江亭歌) 5 페이지 / 전적]

처음 봄.

초경(初更)[몽별가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하룻밤을 오경(五更)으로 나눈 첫째 부분. 저녁 7시에서 9시 사이를 말함.

초경(初更)[몽별가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하룻밤을 오경(五更)으로 나눈 첫째 부분. 저녁 7시에서 9시 사이를 말함.

초경(初更)[말이타국원별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하룻밤을 다섯으로 나누었을 때의 맨 첫째 부분을 이르던 말. 저녁 7시부터 9시 사이.

초경말(初更末)[북쳔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초경이 끝나가는 시간. 곧 9시무렵.

초고왕(肖古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29 페이지 / 전적]

백제의 제5대 왕(?~214). 신라의 서쪽을 침범하여 관산성과 모산성을 함락하고, 원산향과 요차성을 공격하였다. 적현성과 사도성을 쌓고 동부의 민호(民戶)를 이주시켰다.

초구(貂裘)[동상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담비의 모피로 만든 갖옷.

초국천일애(招國天日哀)[구쟉가 13 페이지 / 전적]

나라가 불러줘도 해는 슬프다. 원문에는 ‘千’으로 되어 있으나 ‘天’이 맞은 표현임.

초군(樵君)[정기안심가(定基安心歌) 4 페이지 / 전적]

나무꾼.

초군(樵君)[막소가(莫笑歌) 7 페이지 / 전적]

나무하는 군자(君子).

초군(樵軍)[나부가 1 페이지 / 전적]

나무꾼. 

초군(樵軍)[나부가 1 페이지 / 전적]

나무꾼. 

초군(樵軍)[셔운가 2 페이지 / 전적]

나무꾼.

초군(樵軍)[셔운가 2 페이지 / 전적]

나무꾼.

초군(樵軍)[셔운가 2 페이지 / 전적]

나무꾼.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