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초(初)판[농어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어떠한 일에 있어 처음의 시기나 국면을 이르는 말.
초(初)판[농어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어떠한 일에 있어 처음의 시기나 국면을 이르는 말.
초(抄)[운청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베낌.
초(抄)[조선충효가 20 페이지 / 두루마리]
베낌.
초(楚)[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77 페이지 / 전적]
「楚越」―지극히 가까운 父子가 楚越과 같이 멀어졌다는 말임.
초(楚)나라 강물에는 배가 이미 침몰되고[송강집(松江集三)3 22 페이지 / 전적]
쇠약하다는 것을 의미함
초(草)[말이타국원별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초고(草稿)-초벌로 쓴 원고.
초가(樵歌)[ 1 페이지 / ]
나뭇꾼이 부르는 노래
초가樵歌[ 1 페이지 / ]
나뭇꾼의 노랫 소리.
초가성(楚歌聲)[초한가라 18 페이지 / 전적]
초나라의 노랫소리.
초간(稍間)[노졍긔 29 페이지 / 전적]
한참 걸어가야 할 정도로 조금 먼 거리.
초간(稍間)[노졍긔 29 페이지 / 전적]
한참 걸어가야 할 정도로 조금 먼 거리.
초강 대왕(初江大王)[회심곡 4 페이지 / 두루마리]
시왕(十王)의 하나
초강(楚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60 페이지 / 전적]
「楚江萍」-萍은 水草인데 뿌리가 없으므로 人生의 漂泊에 비하여 쓰고 있음.
초강(楚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55 페이지 / 전적]
「楚江萍」-萍은 無根草로 江面에 떠다니므로 사람의 流浪無定에 비하여 쓴 것임.
초강대왕[착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염라시왕 중 한 분인 초강대왕(初江大王).
초강대왕(初江大王)[일회심곡(一回心曲) 3 페이지 / 전적]
명부(冥府)의 시왕(十王) 중 두번째 왕으로 초강대왕은 명부에서 죽은 자가 두 번째 맞이하는 칠일간의 일을 관장하는 관리. 초강(初江)가에 관청을 세우고 망인이 건너는 것을 감시하므로 초강왕이라고 부름.
초강대왕(初江大王)[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4 페이지 / 전적]
사람이 죽은 지 2·7일(14일) 째 되는 날에 심판을 맡은 지옥의 대왕.
초강대왕(初江大王)[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저승에서 죽은 사람을 재판하는 열 명의 대왕 중 두 번째의 왕으로 죽은 자가 두 번째 맞이하는 칠일 간의 일을 관장. 초강(初江) 주변에 관청을 세우고 망인이 건너는 것을 감시하므로 초강대왕이라고 함.
초강어부(楚江漁夫)[거창가라 26 페이지 / 전적]
초강은 지금의 양자강을 말하며, 초강어부는 굴원이 지은 <어부사>에 등장하는 상강(湘江)의 어부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