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항량(項梁)[우미인가라 2 페이지 / 전적]

초패왕 항우의 숙부이자 진(秦)나라의 장수.

항렬(行列)[몽별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같은 혈족의 직계에서 갈라져 나간 계통 사이의 대수 관계를 나타내는 말. 형제자매 관계는 같은 항렬로 같은 돌림자를 써서 나타냄.

항렬(行列)[몽별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같은 혈족의 직계에서 갈라져 나간 계통 사이의 대수 관계를 나타내는 말. 형제자매 관계는 같은 항렬로 같은 돌림자를 써서 나타냄.

항렬(行列)[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혈족의 방계(傍系)에 대한 대수(代數) 관계를 표시하는 말.

항렬(行列)[셔유곡 1 페이지 / 전적]

같은 혈족의 직계에서 갈라져 나간 계통 사이의 대수 관계를 나타내는 말. 형제자매 관계는 같은 항렬로 같은 돌림자를 써서 나타냄.

항렬(行列)[여행록이라(여녹이라) 11 페이지 / 전적]

친족집단 내에서의 계보상의 종적(縱的)인 세대관계.즉, 종적인 세대에서 형제관계에 있을 때에 같은 항렬이라는 의미에서 동항(同行)이라 하고, 위로 아버지와 같은 세대에 있을 때에 숙항(叔行), 조부와 같은 세대에 있을 때에 조항(祖行)이라 하며, 또 아래로 아들과 같은 세대에 있을 때에 질항(姪行), 손자와 같은 세대에 있을 때에 손항(孫行)이라고 함.

항백(項伯)[송강집(松江集六)6 77 페이지 / 전적]

한고조(漢高祖)는 항우(項羽)의 참화를 면하려는 정책으로 항백(項伯)과 약혼을 했다.

항사 보살(恒沙菩薩)[권왕가 55 페이지 / 전적]

항하(恒河)의 모래와 같이 무수히 많은 보살. 항사(恒沙) : 앞에 든 각주 641 참조. 보살(菩薩) : ① 위로는 깨달음을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교화하는 부처의 버금이 되는 성인. ② 고승(高僧)의 존칭.

항사 성덕(恒沙聖德)[권왕가 54 페이지 / 전적]

항하사의 모래와 같이 수많은 성덕. 항사(恒沙) : 항하사(恒河沙)의 준말. 항하(恒河)의 모래 수. 그 수가 많음을 비유. 성덕(聖德) : 성인의 거룩한 덕.

항사공덕(恒沙功德) 항사(恒沙)[셔왕가 4 페이지 / 전적]

항사의 모래와 같이 무수한 송덕. 항하사(恒河沙)의 준말. 항하의 모래의 수(數). 곧, 수가 많은 것을 뜻함.

항사불(恒沙佛) 항사(恒沙)[자책가(가) 21 페이지 / 전적]

항하(恒河)의 모래 수와 같이 수많은 부처. 항하사(恒河沙)의 준말. 항하(恒河)의 모래 수. 그 수가 많음을 비유.

항서(降書)[갑지녹이라 15 페이지 / 전적]

항복문서.

항성(恒性)[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3 페이지 / 전적]

「恒性」- 秉彛의 性으로 즉 善을 이름. 書經 湯浩에「惟皇上帝降∝于下民 若有恒性」이라 하였음.

항아(姮娥)[베틀가라 1 페이지 / 전적]

항아(嫦娥)라고도 하며 달 속에 있다는 전설 속의 선녀, 또는 달을 달리 부르는 말이다.

항아(姮娥)[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13 페이지 / 전적]

상아(嫦娥) 혹은 상희(嫦羲)라고도 함. 중국 고대 신화에서 달 속에 산다는 여신으로, 남편이 몰래 감추어 둔 불사약을 훔쳐 가지고 달로 달아났다는 예(羿)의 아내. 달의 이칭으로도 불림.

항아(姮娥)[봉션화가 2 페이지 / 전적]

상아(嫦娥) 혹은 상희(嫦羲)라고도 함. 중국 고대 신화에서 달 속에 산다는 여신으로, 남편이 몰래 감추어 둔 불사약을 훔쳐 가지고 달로 달아났다는 예(羿)의 아내. 달의 이칭으로도 불림.

항아(姮娥)[복션화음록 3 페이지 / 전적]

상아(嫦娥). 달 속에 있다는 선녀 이름.

항아(姮娥)[복션화음이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고대 신화에서, 달 속에 있다는 선녀.

항아(姮娥)[비틀노래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고대 신화에서 달 속에 있다는 선녀.

항아(姮娥)[동국조선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고대 신화에서, 달 속에 있다는 선녀.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