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해동(海東)[효행가(효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발해(渤海)의 동쪽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를 이르던 말.
해동(海東) 성국(盛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27 페이지 / 전적]
번영기 때의 발해를 중국에서 이르던 말.
해동국(海東國)[시절가 9 페이지 / 전적]
발해(渤海)의 동쪽이라는 뜻으로, 예전에 ‘우리나라’를 이르던 말.
해동수양(海東首陽)[비틀노래 4 페이지 / 두루마리]
수양은 은나라 때 신하인 백이숙제(伯夷叔齊)가 수양산에 숨어들어가 고사리만 캐어 먹다 죽었다는 고사를 말하며, 곧 해동수양은 우리나라에서 숨어지내기 좋은 산이라는 뜻이다.
해동주자(海東朱子)[축산별곡 7 페이지 / 전적]
퇴계 이황을 말함.
해동창(海東蒼)[송강집(松江集二)2 110 페이지 / 전적]
매(鷹)의 별칭.
해동청(海東靑)[비틀노래 4 페이지 / 두루마리]
조류 매목 맷과에 속한 새.
해득(解得[해몽가라(몽가라) 9 페이지 / 전적]
뜻을 깨쳐 앎.
해득(解得)[효행가(효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뜻을 깨쳐 알다.
해득(解得)[해몽가라(몽가라) 4 페이지 / 전적]
뜻을 깨쳐 앎.
해득(解得)[해몽가라(몽가라) 6 페이지 / 전적]
뜻을 깨쳐 앎.
해득(解得)[효행가(효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뜻을 깨쳐 알다.
해락담소(偕樂談笑)[당산조션가 4 페이지 / 전적]
여럿이 함께 즐겁게 나누는 이야기.
해로(偕老)[고분가 4 페이지 / 전적]
부부가 한 평생 같이 살며 함께 늙음.
해로(偕老)[고분가 4 페이지 / 전적]
부부가 한 평생 같이 살며 함께 늙음.
해로(偕老)[잣치가라(치라) 16 페이지 / 전적]
늙도록 같이 삶.
해로(偕老)[반졀퓨리 3 페이지 / 전적]
부부가 한평생 같이 살며 함께 늙음.
해로(偕老)[곽씨세덕가문니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부부가 한평생 같이 살며 함께 늙음.
해로(薤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91 페이지 / 전적]
「薤露」―樂府의 曲名인데 古代의 挽歌임。崔豹古今注에「薤露、嵩里는 모두 喪歌인데、본시 田橫의 門人에게서 나온 것이다。橫이 自殺하자 門人 슬퍼하여 이 노래를 지은 것인데 말하자면、人命의 奄忽이 薤上의 이슬과 같아서 너무도 쉽게 말라버린다는 뜻이다」라 했음。
해로(薤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60 페이지 / 전적]
「薤露」-古代의 挽歌인데 사람의 목숨이 薤上의 이슬과 같이 말라 없어짐을 말한 것임. 위에서 나타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