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함흥(咸興)[북쳔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함경남도 함흥시.
함흥차사(咸興差使)[한흥가라 13 페이지 / 전적]
심부름을 가서 오지 아니하거나 늦게 온 사람을 이르는 말. 조선 태조 이성계가 왕위를 물려주고 함흥에 있을 때에, 태종이 보낸 차사를 혹은 죽이고 혹은 잡아 가두어 돌려보내지 아니하였던 데서 유래한다.
함흥차사(咸興差使)[한흥가라 13 페이지 / 전적]
심부름을 가서 오지 아니하거나 늦게 온 사람을 이르는 말. 조선 태조 이성계가 왕위를 물려주고 함흥에 있을 때에, 태종이 보낸 차사를 혹은 죽이고 혹은 잡아 가두어 돌려보내지 아니하였던 데서 유래한다.
함흥차사(咸興差使)[한흥가라 13 페이지 / 전적]
심부름을 가서 오지 아니하거나 늦게 온 사람을 이르는 말. 조선 태조 이성계가 왕위를 물려주고 함흥에 있을 때에, 태종이 보낸 차사를 혹은 죽이고 혹은 잡아 가두어 돌려보내지 아니하였던 데서 유래한다.
함흥차사(咸興差使)[한양가라 11 페이지 / 전적]
심부름을 가서 오지 아니하거나 늦게 온 사람을 이르는 말로 조선 태조 이성계가 왕위를 물려주고 함흥에 있을 때에, 태종이 보낸 차사를 혹은 죽이고 혹은 잡아 가두어 돌려보내지 아니하였던 데서 유래했다.
합(合)[한양가라 96 페이지 / 전적]
의존명사로 칼이나 창으로 싸울 때 서로 부딪친 횟수를 세는 단위.
합거지[김씨효행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미상.
합경혼[팔역가(八域歌) 24 페이지 / 전적]
각기 지닌 쪼개진 거울을 맞추어 신표로 삼아 결혼을 함
합곡(合曲)[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6 페이지 / 전적]
함께 합침.
합근교배[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4 페이지 / 전적]
‘합환교배(合歡交盃)’ 오기. 혼례 때 신랑과 신부가 서로 잔을 바꾸어 마시는 의식.
합근례(合巹禮)[쌍옥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한국 전통 결혼식의 대례(大禮)에서 잔을 주고 받는 절차. 대례는 혼인 중에서 가장 중요한 예식으로 대개 교배례(交拜禮)와 합근례로 구분됨.
합금처(合襟處)[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55 페이지 / 전적]
물이 모이는 곳.
합기덕(合其德)[흥비가 5 페이지 / 전적]
덕이 합치됨.
합기덕(合其德)[흥비가 7 페이지 / 전적]
주역의 중천건괘(重天乾卦)=大人은 與天地合其德 與日月合其明 與鬼神合其吉凶(천지와 더불어 덕을 함께하며 해달과 더불어 밝음을 함께하며 귀신과 더불어 길흉을 함께한다).
합기덕(合其德)[역대삼재가라 14 페이지 / 전적]
大人은 與天地合其德 與日月合其明 與鬼神合其吉凶=주역의 중천건괘(重天乾卦)
합류(合流)[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10 페이지 / 두루마리]
둘 이상의 흐름이 한데 합하여 흐름.
합류(合流)[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10 페이지 / 두루마리]
둘 이상의 흐름이 한데 합하여 흐름.
합문(闔門)[남은곡 권지단이라 19 페이지 / 전적]
제사를 지낼 때에, 제사 음식을 물리기 전에 잠시 문을 닫거나 병풍으로 가리어 막음.
합발선[팔역가(八域歌) 37 페이지 / 전적]
미상
합방(合邦)[해방후환히락가(방후환히락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나라를 합친다는 뜻으로 여기서는 일제로부터 나라를 빼앗겼다는 뜻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