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해월(海月)[석천집(石川集二-五)2-5 166 페이지 / 전적]

바다 위에 뜬 달, 또는 바다 위의 하늘에 떠있는 달.

해음없이[연행별곡(연별곡) 13 페이지 / 전적]

하염없이.

해인경(海印經)[산천가라 4 페이지 / 전적]

갱정유도(更定儒道), 일명 일심교(一心敎)의 기본 경전.

해인경(海印經)[산천가 3 페이지 / 전적]

유불선갱정유도(儒佛仙更定儒道)의 기본 경전.

해인경(海印經)[부부가 1 페이지 / 전적]

유불선갱정유도(儒佛仙更定儒道)의 기본 경전.

해인경(海印經)[부자가 1 페이지 / 전적]

유불선갱정유도(儒佛仙更定儒道)의 기본 경전.

해인경(海印經)[서양예수재자말삼(서양예수자말삼) 1 페이지 / 전적]

유불선갱정유도(儒佛仙更定儒道)의 기본 경전.

해인경(海印經)[자연천의설(自然天意說) 7 페이지 / 전적]

갱정유도의 기본 경전 중 하나.

해인경(海印經)[청림도사궁을전(靑林道士弓乙傳) 1 페이지 / 전적]

갱정유도의 기본 경전 중 하나.

해인사(海印寺)[팔도안희가 10 페이지 / 전적]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가야산에 있는 절로 통도사, 송광사와 함께 우리나라 삼보(三寶:佛寶, 法寶, 僧寶) 사찰 중 하나이며 고려대장경판을 보관하고 있어 법보사찰이라고도 한다.

해인사(海印寺)[우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경남 합천군 가야면 가야산에 있는 절로, 신라 애장왕 3년(802)에 순응(順應)․이정(利貞) 두 대사가 세웠다. 고려대장경판을 보관하고 있어 법보사찰로 불리운다

해인사(海印寺)[가야희인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가야산 중턱에 있는 절. 국보 32호인 팔만대장경을 소장하고 있음.

해인사(海印寺)[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3 페이지 / 전적]

화엄 십찰의 하나로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가야산에 있다. 신라 애장왕 3년(802)에 순응, 이정 두 대사가 세운 절로, 선교 양종의 본산이며, 수다라전(修多羅殿), 법보전(法寶殿)에 8만 1258매의 대장경 경판을 소장하고 있다. 지금의 건물은 조선 후기에 중건한 것이다.

해인지심[은삭가 14 페이지 / 전적]

남을 해칠 마음.

해인지심[은삭가 14 페이지 / 전적]

남을 해칠 마음.

해자[오륜가라 37 페이지 / 전적]

폐를 끼침.

해자[가사소리 37 페이지 / 전적]

폐를 끼침.

해자축(亥子丑)[해몽가라(몽가라) 4 페이지 / 전적]

해(亥)는 甲戌乙亥(갑술을해)를 말함. 子丑(자축)은 다시 선천의 시대로 돌아옴을 의미함. ‘천개어자(天開於子)’ 즉 하늘이 자에서 열리고, ‘지개어축(地開於丑)’ 땅이 축에서 열린다고 하였으니, 하나의 양이 처음으로 땅속에서 꿈틀거리는 즉 ‘일양시생(一陽始生)’하여 열매를 맺는 시기를 가리킴.

해정(解酲)[메물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해장’의 원말. 아침 식전에 술속을 풀기 위(爲)하여 술을 조금 마심.

해정(解酲)[메물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해장’의 원말. 아침 식전에 술속을 풀기 위(爲)하여 술을 조금 마심.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