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행실범백(行實凡百)[숙덕부인도덕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행실과 상궤(常軌)에서 벗어나지 않는 언행.

행실범절(行實凡節)[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실지로 드러나는 행동과 법도에 맞는 모든 질서나 절차.

행심(幸甚)[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3 페이지 / 전적]

퍽 다행(多幸)함.

행심(幸甚)[합강정가(合江亭歌) 7 페이지 / 전적]

퍽 다행(多幸)함.

행악(行惡)[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0 페이지 / 전적]

모질고 나쁜 짓이나 그런 행동.

행양(桁楊)[송강집(松江集五)5 80 페이지 / 전적]

형구(形具)

행영[팔역가(八域歌) 6 페이지 / 전적]

출군한 군사의 주둔지

행와(行窩)[송강집(松江集二)2 72 페이지 / 전적]

宋史 邵雍傳에 호사자(好事者)가 따로 집을 지어 옹(雍)의 사는 바와 같 이 꾸며 두고 그 찾음을 기다렸다. 그래서 행와(行窩)라 했다 하였음.

행우(行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38 페이지 / 전적]

「巫山行雨」―宋玉의 高唐賦에『옛날에 先生이 高唐에 노닐다가 몸이 피곤하여 낮잠에 들었는데 꿈에 한 婦人이 나타나서 하는 말이「妾은 巫山의 女로서 高唐의 客이 되었사온데 君이 高唐에 노니신다는 말을 듣고 왔으니 枕席을 모시기 소원입니다」하므로 왕은 동침을 하였다 그는 떠나면서「妾은 巫山의 陽과 高丘의 阻에 있어 아침에는 朝雲이 되고 저녁에는 行雨가 되어 아침마다 저녁마다 陽臺의 아래에서 라고 하므로 旦朝에 보니 말과 같았다. 그래서 그를 위하여 廟를 세우

행원(杏園)[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8 페이지 / 전적]

「杏園」―成均館을 말함

행유여력(行有餘力) 척령시(鶺鴒詩)[ 1 페이지 / ]

일을 다 하고도 오히려 힘이 남음.

행유여력(行有餘力) 척령시(鶺鴒詩)[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87 페이지 / 전적]

일을 다 하고도 오히려 힘이 남음.

행유여력(行有餘力)[양친가(養親歌) 10 페이지 / 전적]

일을 다하고도 오히려 남은 힘이 있음

행유여력(行有餘力)[자경별곡 11 페이지 / 전적]

일을 다 하고도 오히려 힘이 남음.

행유여력(行有餘力), 척령시(鶺鴒詩)[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27 페이지 / 전적]

일을 다 하고도 오히려 힘이 남음, 『시경(詩經)』의 [소아(小雅)] 편에 나오는 시. 척령재원(鶺鴒在原)의 뜻을 반영한 시. 즉, 할미새(鶺鴒)는 수미(首尾)가 서로 응하므로, 급한 일을 당하여 형제가 서로 돕는다는 비유로 쓰임.

행음杏陰[ 1 페이지 / ]

은행나무 그늘. ‘살구나무 그늘‘로 보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시의 내용에 공자의 말을 담은 [論語]의 천상의川上意 고사高事가 인용되어 있고, [소쇄원도]에서 ‘행음(杏陰)‘이라 한 곳의 나무의 그림이 매梅.유柳.도桃.백栢.동桐 등에 비해 훨씬 큰 것으로 미루어 이를 살구나무라 하기보다 은행나무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또 행정杏亭이라 한 곳의 나무 역시 마찬가지로 크게 그려 있음을 참고할 수 있다. 예로부터 집 근처나 길가에 있는 큰 나무를 정자나무라 하였고, 큰 나무의 대표적인 은행나무는 또 이의 별칭이 됨으로써 은행나무는 다시 행전 또는 은행정 등으로도 알려지게 된 것이다. [소쇄원사실瀟灑園事實] 권9에 있는 고경명의 시 주註에서 이른 ‘은행정銀杏亭‘역시 이른 방징하는 한 예가 된다.

행음行吟[ 1 페이지 / ]

거닐면서 글을 읊는 것.

행음行吟[ 1 페이지 / ]

읊조리며 걷다. 걸으며 읊조리다.

행인공덕[착현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지나가는 길손에게 먹거리나 인정을 베푸는 공덕

행인유숙(行人留宿)[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정처없이 떠도는 사람에게 숙소를 제공하는 공덕.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