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해제(解題)[옥셜화답 10 페이지 / 전적]

문제를 풂.

해조음(海潮音)[금강산유람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중생이 '나무관세음(南無觀世音)'이라고 염불함에 대하여 관세음보살이 때를 가리지 아니하고 이익을 줌을 해조 소리에 비유한 말.

해좌(亥坐) 을파(乙破)로다[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35 페이지 / 전적]

해좌사향에 동방으로 물이 빠짐.

해좌사향(亥坐巳)[한흥가라 7 페이지 / 전적]

해좌사향(亥坐巳向). 묏자리나 집터 따위가 해방(亥方)을 등지고 사방(巳方)을 바라보는 방향. 또는 그렇게 앉은 자리. 북북서를 등지고 남남동을 바라보는 방향이다.

해좌사향(亥坐巳)[한흥가라 7 페이지 / 전적]

해좌사향(亥坐巳向). 묏자리나 집터 따위가 해방(亥方)을 등지고 사방(巳方)을 바라보는 방향. 또는 그렇게 앉은 자리. 북북서를 등지고 남남동을 바라보는 방향이다.

해좌사향(亥坐巳)[한흥가라 7 페이지 / 전적]

해좌사향(亥坐巳向). 묏자리나 집터 따위가 해방(亥方)을 등지고 사방(巳方)을 바라보는 방향. 또는 그렇게 앉은 자리. 북북서를 등지고 남남동을 바라보는 방향이다.

해좌사향(亥坐巳向)[한양가라 6 페이지 / 전적]

해방(亥方)을 등지고 사방(巳方)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곧 북북서를 등지고 남남동을 바라보는 방향이다.

해주(海州)[한양가라 61 페이지 / 전적]

황해도 해주.

해주정씨(海州鄭氏)[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시조(始祖) 정숙(鄭肅)은 고려 신종 때 문과에 합격하여 전법정랑(典法正郞), 중현대부(中顯大夫) 전객서령(典客署令),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를 지냈다. 후손중 고려말 소부소윤(少府少尹)을 지낸 정언과 정관(鄭琯), 대장군(大將軍)을 지낸 정초(鄭初)를 일세조로 삼고 해주를 본관으로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해중산(稽中散)[송강집(松江集一)1 94 페이지 / 전적]

진(晋)나라 사람 해강(稽康)이 중산대부(中散大夫)를 사직하고 산양(山陽)에 숨어 풀무장이를 했음.

해참(駭慚)[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22 페이지 / 전적]

해괴하여 몹시 남부끄러움.

해참(駭慚)[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22 페이지 / 전적]

해괴하여 몹시 남부끄러움.

해참(駭慚)[대비훈민가 16 페이지 / 전적]

해괴하여 몹시 남부끄러움.

해참(駭慚)하다[김대비훈민가(김비훈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매우 괴상하고 야릇하여 남부끄럽다는 뜻.

해타(咳唾)[관동별곡 13 페이지 / 전적]

원쯧은 기침과 침. 훌륭한 사람의 입에서 나온 말이나 글. 여기서는 이백의 <등금릉봉황대>를 가르킴.

해타(咳唾)[송강집(松江集一)1 173 페이지 / 전적]

웃사람과 담화를 겸손하게 함을 이른 말. 해(咳)는 기침 타(唾)는 침. 담 화할 때의 기침과 침에 비유. 莊子漁父篇에「幸聞咳唾之音」. 전(轉)하여 옛 사람이 남긴 말이나 글을 이르기도 함.

해타(咳唾)[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28 페이지 / 전적]

「咳唾」 ― 談論이란 말과 같음. 晋書夏候諶傳에 「咳唾成珠玉 揮袂出風雲」이라 하였음.

해타(懈惰)[통륜가(通倫歌) 12 페이지 / 전적]

일을 하기 싫어하여 할 일을 자꾸 미루거나 제대로 하지 않음.

해태(懈怠)[근농가(勤農歌) 3 페이지 / 전적]

게으름이라는 뜻으로 행동이 느리고 움직이거나 일하기를 싫어하는 태도나 버릇.

해태(懈怠)[쟝한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행동이 느리고 일하기 싫어하는 성미와 버릇.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