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행궁(行宮)[송강집(松江集二)2 99 페이지 / 전적]
임금이 순행할 적에 주필(駐蹕)하는 곳을 이름. 천악(天樂)은 궁중의 악(樂)을 말함.
행궁(行宮)[백세보중(百世葆重 三)3 12 페이지 / 전적]
임금이 궁 밖으로 행차할 때 임시 머무르던 별궁, 이궁이라고도함.
행금(行檢)[회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품행이 점잖고 바르다. 또는 그러한 품행.
행기(行己) 망어(妄語)[ 1 페이지 / ]
처신(處身). 행신(行身). 세상살이나 대인 관계에 있어서, 가져야 할 몸가짐이나 행동. 거짓말. 진실하지 못한 허망한 말.
행기(行己) 망어(妄語)[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100 페이지 / 전적]
처신(處身). 행신(行身). 세상살이나 대인 관계에 있어서, 가져야 할 몸가짐이나 행동. 거짓말. 진실하지 못한 허망한 말.
행단(杏亶)[궁장가(宮牆歌) 7 페이지 / 전적]
공자가 제자들에게 학문을 전수했다는 곳.
행단(杏亶)[궁장가(宮牆歌) 7 페이지 / 전적]
공자가 제자들에게 학문을 전수했다는 곳.
행단(杏亶)[녁대가(녁가) 29 페이지 / 전적]
옛날 공자(孔子)가 사수(泗洙)에서 그 제자들을 가르치던 유지(遺址).
행단(杏壇)[권션지로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학문을 닦는 곳
행단(杏壇)[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0 페이지 / 전적]
「杏壇」―孔子의 講學하던 곳으로 지금 中國山東省 曲阜縣 孔子廟인 大成殿 앞에 있음. 莊子 漁父篇에「孔子遊於緇帷之林休坐乎杏壇之上」이라 했음.
행단(杏壇)[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57 페이지 / 전적]
「杏壇」-孔子의 講學處로 中國 山東省曲阜縣 孔子廟大成殿 앞에 있음. 莊子漁父에 『孔子遊於緇帷之林 休坐乎杏壇之上』이라했다. 그래서 무릇 大成殿이 있는 곳은 다 杏壇이라 稱했음.
행단(杏壇)[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22 페이지 / 전적]
孔子의 講學한 곳임. 莊子 漁父篇에 「孔子가 緇帷의 林에 노닐다가 杏壇의 위에 쉬어 앉았다」라 하였음.
행단(杏壇)[도덕가 4 페이지 / 전적]
학문을 닦는 곳을 이르는 말.공자가 은행나무 단에서 제자를 가르쳤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행단(杏壇)[도덕가 4 페이지 / 전적]
학문을 닦는 곳을 이르는 말.공자가 은행나무 단에서 제자를 가르쳤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행단춘풍(杏壇春風)[해몽가라(몽가라) 11 페이지 / 전적]
은행나무 단에 부는 봄바람. 행단은 공자가 은행나무 단에서 제자를 가르쳤다는 옛일에서 유래하여 학문을 닦는 곳을 이르는 말로 쓰임.
행담(行擔)[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49 페이지 / 전적]
길 가는 데에 가지고 다니는 작은 상자.
행도(行道)[궁월가라 3 페이지 / 전적]
도를 행함.
행동거지(行動擧止)[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3 페이지 / 전적]
몸을 움직여 하는 모든 짓.
행동거지(行動擧止)[경영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몸으로 움직이는 모든 것.
행동거지(行動擧止)[청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몸을 움직여 하는 모든 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