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행재소(行在所)[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9 페이지 / 전적]

임금이 궁을 떠나 멀리 나들이할 때 머물던 곳.

행전(行纏)[한흥가라 77 페이지 / 전적]

바지나 고의를 입을 때 정강이에 감아 무릎 아래 매는 물건. 반듯한 헝겊으로 소맷부리처럼 만들고 위쪽에 끈을 두 개 달아서 돌라매게 되어 있다.

행전(行纏)[한흥가라 77 페이지 / 전적]

바지나 고의를 입을 때 정강이에 감아 무릎 아래 매는 물건. 반듯한 헝겊으로 소맷부리처럼 만들고 위쪽에 끈을 두 개 달아서 돌라매게 되어 있다.

행전(行纏)[한흥가라 77 페이지 / 전적]

바지나 고의를 입을 때 정강이에 감아 무릎 아래 매는 물건. 반듯한 헝겊으로 소맷부리처럼 만들고 위쪽에 끈을 두 개 달아서 돌라매게 되어 있다.

행전(行纏)[한양가라 76 페이지 / 전적]

바지나 여름 홑바지를 입을 때 정강이에 감아 무릎 아래 매는 물건.

행조[백세보중(百世葆重 三)3 30 페이지 / 전적]

임금이 가는 곳.

행조(行朝)[송강집(松江集一)1 137 페이지 / 전적]

임금의 행차가 머물러 있는 곳. 通鑑 綱目集覽에「辛勤曰棄輿所至處曰 行朝」

행조(行朝)[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8 페이지 / 전적]

행재소(行在所)를 말함. 행재소는 임금이 왕궁을 떠나 거둥할 때 임시로 머무는 곳인데, 임진왜란중 국왕 선조는 피난길에 나서 서울을 떠나 평양을 거쳐 의주로 옮기었다. 이때 국왕 선조가 머물고 있는 곳을 행재소, 행조라 하였다.

행조대신[백세보중(百世葆重 三)3 29 페이지 / 전적]

임금이 궁궐을 떠나 있을 때 모시고 있는 벼슬아치들.

행좌行坐[ 1 페이지 / ]

행주좌와行住坐臥 곧 가고, 머물며 않고 눕는 행위.

행주(行舟)[대효가(大孝歌) 3 페이지 / 전적]

배를 타고 다님.

행주대첩(幸州大捷)[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2 페이지 / 전적]

조선 선조 26년(1593)에 전라도 순찰사 권율이 행주산성에서 왜적을 크게 물리친 싸움. 임란 삼대첩의 하나이다.

행주자(行朱子)[셩경가 8 페이지 / 전적]

주자학을 실천하다.

행주자(行朱子)[셩경가 8 페이지 / 전적]

주자학을 실천하다.

행주좌와(行住坐臥)[권왕가 14 페이지 / 전적]

걷고 머물고 앉고 눕는 네 가지의 위의(威儀). 일상의 기거동작 (起居動作)을 이르는 말.

행주좌와(行住坐臥)[자책가(가) 22 페이지 / 전적]

걷고 머물고 앉고 눕는 네 가지의 위의(威儀). 일상의 기거동작(起居動作) 을 이르는 말.

행주좌와(行住坐臥)[교몽가 3 페이지 / 전적]

다니고, 머물고, 앉고, 눕고 하는 일상의 움직임을 통틀어 이르는 말.

행지(行止)[사친가2(思親歌(二)) 8 페이지 / 전적]

행동거지(行動擧止)의 준말. 몸을 움직여 하는 모든 것.

행지(行止)[종매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행동거지(行動擧止).

행지(行止)[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48 페이지 / 전적]

행동거지.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