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향당은 막여치라[오륜가라 25 페이지 / 전적]
향당막여치(鄕黨莫如齒). 마을에서 위아래를 따질 때는 가장 중요한 것이 나이임.
향당은 막여치라[오륜가라 25 페이지 / 전적]
향당막여치(鄕黨莫如齒). 마을에서 위아래를 따질 때는 가장 중요한 것이 나이임.
향당주려(鄕黨州閭)[오륜도덕가(五倫道德歌) 9 페이지 / 전적]
향당과 고을의 마을
향락(享樂)[환무자탄가 20 페이지 / 전적]
쾌락을 누림.
향례(享禮)[한양가라 47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에 종묘·사직·영녕전에서 지내던 큰 제사인 대제(大祭)를 지내는 옛 예법을 말한다.
향로(香?)[백발가(白髮歌) 6 페이지 / 전적]
향을 피우는 자그마한 화로인 향로(香爐)를 말함.
향로(香爐)[한양가라 31 페이지 / 전적]
향로(香爐)
향로香爐[ 1 페이지 / ]
향을 피우는 데 쓰는 기구.
향로봉(香爐峯)[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8 페이지 / 전적]
「香爐」―峯名인데 廬山內에 있음. 李白廬山瀑布詩에「日照香爐生紫烟 遙看瀑布挂長川」이란 句가 있음.
향로향합(香爐香盒)[백발가(白髮歌) 10 페이지 / 전적]
제사 때 향을 피우는 조그마한 화로와 그 향을 담는 합.
향로향합(香爐香盒)[서가여래가사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향을 피우는 자그마한 화로와, 제사 때에 피우는 향을 담는 함.
향로향합(香爐香盒)[서가여래가사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향을 피우는 자그마한 화로와, 제사 때에 피우는 향을 담는 함.
향리 조약 향약(鄕約)[ 1 페이지 / ]
향약(鄕約)을 가리킴. 조선시대에 권선징악과 상부상조를 목적으로 만든, 향촌의 자치규약(自治規約).
향리 조약 향약(鄕約)[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9 페이지 / 전적]
향약(鄕約)을 가리킴. 조선시대에 권선징악과 상부상조를 목적으로 만든, 향촌의 자치규약(自治規約).
향망(向望)[삼팔가(三八歌) 5 페이지 / 전적]
향하여 바람.
향망(鄕望)[이화가젼 7 페이지 / 전적]
고향에서의 인망(人望). 또는 그 인망이 높은 사람.
향망(鄕望)[이화가젼 7 페이지 / 전적]
고향에서의 인망(人望). 또는 그 인망이 높은 사람.
향므든 애로[ 1 페이지 / ]
꽃향기 묻은 날개로.
향미(香味)[황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향기와 맛.
향배(向拜)[자치가라 18 페이지 / 두루마리]
어떤 곳을 향해 절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