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향당(鄕黨[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8 페이지 / 전적]

①자기(自己)가 났거나 사는 시골의 마을 ②또는, 그곳에서 사는 사람들.

향당(鄕黨[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8 페이지 / 전적]

①자기(自己)가 났거나 사는 시골의 마을 ②또는, 그곳에서 사는 사람들.

향당(鄕黨) 기인(棄人)[ 1 페이지 / ]

자기가 태어났거나 사는 시골의 마을. 또는, 그 마을 사람들. 정상적인 도리에 벗어난 짓을 하여 버림을 받은 사람.

향당(鄕黨)[삼강오륜가 서 10 페이지 / 전적]

자기가 태어났거나 사는 시골의 마을. 또는 그 마을 사람들.

향당(鄕黨)[황젼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자기가 태어났거나 사는 시골 마을

향당(鄕黨)[오륜가라 24 페이지 / 전적]

자기가 태어났거나 사는 시골 마을. 또는 그 마을 사람들. 예전에는 500집이 ‘당’이 되고 1만 2500집이 ‘향’이 되었다.

향당(鄕黨)[가사소리 24 페이지 / 전적]

자기가 태어났거나 사는 시골 마을. 또는 그 마을 사람들. 예전에는 500집이 ‘당’이 되고 1만 2500집이 ‘향’이 되었다.

향당(鄕黨)[시양병가(侍養病歌) 1 페이지 / 전적]

①자기(自己)가 났거나 사는 시골의 마을 ②또는, 그곳에서 사는 사람들

향당(鄕黨)[혼례가(婚禮歌) 3 페이지 / 전적]

자기가 났거나 사는 시골의 마을.또는 그곳에 사는 사람들.

향당(鄕黨)[부덕가(婦德歌) 6 페이지 / 전적]

자기가 태어났거나 사는 시골 마을.또는 그 마을 사람들.예전에는 500집이

향당(鄕黨)[경장가(敬長歌) 2 페이지 / 전적]

자기가 태어났거나 사는 시골 마을.또는 그 마을 사람들.예전에는 500집이

향당(鄕黨)[유례가(幼禮歌) 8 페이지 / 전적]

자기가 났거나 사는 시골의 마을. 또는, 그곳에서 사는 사람들.

향당(鄕黨)[유덕가(幼德歌) 2 페이지 / 전적]

자기가 났거나 사는 시골의 마을. 또는, 그곳에서 사는 사람들.

향당(鄕黨) 기인(棄人)[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100 페이지 / 전적]

자기가 태어났거나 사는 시골의 마을. 또는, 그 마을 사람들. 정상적인 도리에 벗어난 짓을 하여 버림을 받은 사람.

향당(鄕黨)은 막여치(莫如齒)라[오륜가라 31 페이지 / 전적]

향당에서는 나이 차례를 중히 여긴다는 뜻.

향당(鄕黨)은 막여치(莫如齒)라[오륜가라 24 페이지 / 전적]

향당에서는 나이 많은 이가 제일이라는 말.

향당(鄕黨)은 막여치(莫如齒)라[가사소리 24 페이지 / 전적]

향당에서는 나이 많은 이가 제일이라는 말.

향당鄕黨)[오륜도덕가(五倫道德歌) 5 페이지 / 전적]

자기가 태어났거나 살고 있는 시골의 마을. 옛날에는 12,500집이 향(鄕)이 되고, 500집이 당(黨)이 되었음.

향당득죄(鄕黨得罪)[충효가(忠孝歌) 12 페이지 / 전적]

지방에서 죄를 지음. 비교적 가벼운 죄를 짓는 것을 말함.

향당은 막여치니[김대비훈민가(김비훈민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향당막여치(鄕黨莫如齒). 부로(父老)가 살고 있는 고을에서는 벼슬의 높낮이나 가문의 지체를 따지는 것이 아니라, 나이의 존장(尊長)을 우선하여야 한다는 뜻.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