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혼연천성(渾然天成)[ 1 페이지 / ]

힘을 들이지 않고 자연적으로 쉽게 이루어짐을 이르는 말.

혼연천성(渾然天成)[고봉선생문집 권삼(高峰先生文集 券三) 168 페이지 / 전적]

힘을 들이지 않고 자연적으로 쉽게 이루어짐을 이르는 말.

혼원(混元)[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0 페이지 / 전적]

「混元」―世界開闢의 시초를 말함. 雲笈七籖에「混元者 元氣之始也」라 하였음.

혼인 대사(婚姻大事)[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8 페이지 / 전적]

예를 갖추어 부부가 되는 등의 큰일.

혼인 안목(婚姻眼目)[사친가2(思親歌(二)) 4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주 29 참조. 색색(色色) : 앞에 든 주 35 참조.

혼인안목(婚姻眼目)의 법(法)[사친가2(思親歌(二)) 3 페이지 / 전적]

혼인 일에 대해 분별하는 견식의 법도.

혼인중절(婚姻中絶)[자치가라 15 페이지 / 두루마리]

결혼생활이 중도에 끊김.

혼일(婚日)[상사곡이라 2 페이지 / 전적]

혼삿날.

혼정(昏定)[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6 페이지 / 전적]

잠자리에 들 때에 부모의 침소에 가서 잠자리를 살피고 밤 동안 안녕하기를 여쭘.

혼정(昏定)[조심가라 34 페이지 / 전적]

잠자리에 들 때에 부모의 침소에 가서 잠자리를 살피고 밤 동안 안녕하기를 여쭘.

혼정(昏定)[조심가라 34 페이지 / 전적]

잠자리에 들 때에 부모의 침소에 가서 잠자리를 살피고 밤 동안 안녕하기를 여쭘.

혼정(昏定)[동국조선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혼정신성(昏定晨省)-밤에 자기 전에 부모의 침소에 가서 잠자리를 살피고 밤 동안 안녕하기를 여쭙는 일.

혼정신성(昏定晨省) 삼생(三牲)[ 1 페이지 / ]

아침저녁으로 부모의 안부를 물어 살핌. 제물로 쓰이는 세 가지 짐승. 곧 소·양·돼지.

혼정신성(昏定晨省) 삼생(三牲)[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84 페이지 / 전적]

아침저녁으로 부모의 안부를 물어 살핌. 제물로 쓰이는 세 가지 짐승. 곧 소·양·돼지.

혼정신성(昏定晨省)[권왕가 44 페이지 / 전적]

정성(定省). 아침저녁으로 부모의 안부를 물어 살핌.

혼정신성(昏定晨省)[회심곡 11 페이지 / 두루마리]

아침저녁으로 부모의 안부를 물어 살핌.

혼정신성(昏定晨省)[명륜가(明倫歌) 22 페이지 / 전적]

저녁에는 잠자리를 보아 드리고, 아침에는 문안을 드린다는 뜻으로, 자식이 아침저녁으로 부모의 안부를 물어서 살핌을 이르는 말.

혼정신성(昏定晨省)[오륜가라 12 페이지 / 전적]

밤에는 부모의 잠자리를 보아 드리고 이른 아침에는 부모의 밤새 안부를 묻는다는 뜻으로, 부모를 잘 섬기고 효성을 다함을 이르는 말.

혼정신성(昏定晨省)[헌수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밤에는 부모의 잠자리를 보아 드리고 이른 아침에는 부모의 밤새 안부를 묻는다는 뜻.

혼정신성(昏定晨省)[효행가(효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밤에는 부모의 잠자리를 보아 드리고 이른 아침에는 부모의 밤새 안부를 묻는다는 뜻으로 부모를 잘 섬기고 효성을 다함을 이르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