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홍광(紅光)[소상팔경가 24 페이지 / 전적]
붉은 빛.
홍교(虹橋)[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71 페이지 / 전적]
「虹橋」- 朱子의 武夷櫂歌 十首의 一에 「一曲溪邉上釣般 幔亭峯影蘸晴川 虹橋一斷無消息 萬壑千巖鎻翠烟」 이라 하였음.
홍교(虹橋)[봉션화가 3 페이지 / 전적]
홍예다리. 양쪽 끝은 처지고 가운데는 높여서 무지개처럼 만든 둥근 다리.
홍교일단 무소식(虹橋一斷 無消息)[황남별곡(黃南別曲) 8 페이지 / 전적]
주희(朱熹)의 <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의 한 구절.무지개 다리 한 번 끊어지니 소식이 없구나.
홍교일단(虹橋一斷)[황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한번 끊긴 무지개 다리.
홍교일단무소식(虹橋一斷無消息)[옥산가라 46 페이지 / 전적]
무지개 다리 끊긴 뒤로는 소식도 알 길 없이 라는 뜻으로 주자의 무이구곡가의 한 구절.
홍교일단무소식(虹橋逸斷無素息)[한별곡 8 페이지 / 두루마리]
주희가 지은 武夷九曲歌 一曲에 나오는 구절. 임을 그리워하는 애절한 마음.
홍국(紅麴)[옥산가라 42 페이지 / 전적]
붉은 색의 국화꽃.
홍국영(洪國榮)[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5 페이지 / 전적]
조선 후기의 문신(1748~1781). 자는 덕로(德老). 영조 때에 세자시강원 설서가 되어 세손을 즉위시키고 정조 밑에서 도승지에 올라 세도 정치를 폈다. 뒤에 왕비를 살해하려는 음모가 발각되어 추방되었다.
홍규(洪奎)[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0 페이지 / 전적]
본관은 남양(南陽). 초명은 문계(文系). 아버지는 동지추밀원사 진(縉)이다. 원종 때 어사중승이 되었으며, 당시 무인집정자 임유무(林惟茂)의 매부로서 함께 국사에 관해 의논했다. 그러나 1270년(원종 11) 왕이 원나라로부터 돌아와 몽골과 강화를 맺으려고 할 때 임유무가 이를 반대하자, 이분성(李汾成)·송송례(宋松禮)와 함께 삼별초를 동원하여 임유무를 죽였다.
홍규(紅閨)[환행가 20 페이지 / 두루마리]
아름답게 꾸민 여자(女子)가 거처(居處)하는 곳.
홍규(紅閨)[환행가 20 페이지 / 두루마리]
아름답게 꾸민 여자(女子)가 거처(居處)하는 곳.
홍노즁에[상사곡이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홍노중(紅爐中)에. 붉게 타는 화로처럼 더운 여름에.
홍녹(紅綠)[명궁처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붉은 꽃과 푸른 잎.
홍농공(弘農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89 페이지 / 전적]
「弘農公」―벼루의 別稱임.韓愈의 毛潁傅에 「潁은 絳人 陳玄과 弘農陶泓 및 會稽, 楮先生과 友善하다」라 하였음.
홍대(紅帶)[동상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겉옷에 두르는 붉은색의 띠.
홍대(紅帶)[회혼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겉옷에 두르는 붉은색의 띠.
홍대용(洪大容)[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50 페이지 / 전적]
조선 영조 때의 실학자(1731~1783). 자는 덕보(德保). 호는 담헌(湛軒)ㆍ홍지(洪之). 북학파의 대표적 인물로, 천문과 율력에 뛰어나 혼천의를 만들고 지구의 자전설을 제창하였다. 저서에 ≪담헌집≫, ≪주해수용(籌解需用)≫ 따위가 있다.
홍도 비구(弘道比丘)[권왕가 31 페이지 / 전적]
도(道)를 널리 펴던 한 비구. 비구(比丘) : 출가하여 구족계(具足戒)를 받은 남자 중. 다겁(多劫) : 앞에 든 각주 157 참조.
홍도벽도(紅桃碧桃)[초당춘수곡 4 페이지 / 전적]
홍도-관상용 복숭아, 벽도-선경(仙境)에 있다는 복숭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