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홀필열(忽必烈)[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6 페이지 / 전적]

원나라 세조 쿠빌라이의 한문식 표현.

홀필열(忽必烈)[대명복수가(명복수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원나라 세조 쿠빌라이의 한문식 표현.

홀필열(忽必烈)[대명복수가(명복수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원나라 세조 쿠빌라이의 한문식 표현.

홀홀(忽忽)[당산조션가 6 페이지 / 전적]

문득 갑작스럽게.

홀홀지심(忽忽之心)[신자가(信字歌) 10 페이지 / 전적]

가벼운 마음 혹은 대수롭지 않은 마음.

홈바우난[용문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홈바위는. 오목한 바위는.

홍ㆍ탕(弘ㆍ湯)[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87 페이지 / 전적]

「弘湯」- 丞相 公孫弘, 延尉 張湯을 말함.

홍가사(紅袈裟) 가사(袈裟)[자책가(가) 15 페이지 / 전적]

중이 입는 붉은 빛 가사. 무구의(無垢衣). 중이 장삼 위에,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겨드랑이 밑으로 걸쳐 입는 법의(法衣). 종파에 따라 그 빛깔과 형식을 엄격히 구별하고 있음.

홍가신(洪可臣)[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3 페이지 / 전적]

조선 선조 때의 문신(1541~1615). 자는 흥도(興道). 호는 만전당(晩全堂). 1589년 정여립의 모반 사건 후 파직되었다가 1594년 홍주 목사(洪州牧使)로 부임하여 이몽학의 난을 평정하고 청난공신이 되었다.

홍가신(洪可臣, 중종 36, 1541~광해군 7, 1615)[문청공유사 사계수필(文淸公遺事 沙溪手筆) 27 페이지 / 전적]

자는 흥도(興道), 호는 만전당(晩全堂). 민순(閔純)의 문인으로 제자백가에 통달하고 시문에 뛰어났다. 명종 22년 진사시에 합격하여 강릉참봉(康陵參奉)이 되고 이후 예빈시주부, 형조좌랑, 지평, 형조참판, 강원도관찰사, 형조판서 등을 지냈다. 1589년 정여립의 모반사건이 터지자, 평소 정여립과 가까이 지냈다 하여 파직되었다가 1593년 파주목사, 이듬해 홍주목사가 되기도 했었다.

홍개(紅蓋)[오륜가라 19 페이지 / 전적]

의장의 한 가지. 붉은 깁으로 싼 양산 모양(模樣)의 것인데, 문과(文科)에 장원(壯元) 급제(及第)한 사람에게 풍류(風流)와 함께 내리어, 유가할 때 앞세우고 다니게 하였음.

홍개(紅蓋)[뎡슝샹회방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의장의 한 가지. 붉은 깁으로 싼 양산 모양(模樣)의 것인데, 문과(文科)에 장원(壯元) 급제(及第)한 사람에게 풍류(風流)와 함께 내리어, 유가할 때 앞세우고 다니게 했음.

홍경(弘景)[송강집(松江集三)3 27 페이지 / 전적]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의 은사(隱士)임. 通監에「齊武帝禮聘不出 朝廷大事輒就咨問時人目爲山中宰相」

홍경래(洪景來)[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6 페이지 / 전적]

홍경래(洪景來, 1771~1812)

홍경래(洪景來)[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6 페이지 / 전적]

조선 순조 때의 혁명가(1771~1812). 1798년에 평양의 향시에 합격하고 소과(小科)에 응하였으나 지방을 차별하는 폐습 때문에 낙방하자 이에 불만을 품고 1811년에 평안북도 가산에서 군사를 일으켜 혁명을 꾀하다가 이듬해 정주에서 패하여 죽었다.

홍경래난(洪景來亂)[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6 페이지 / 전적]

조선 순조 11년(1811)에 평안북도 가산군에서 홍경래가 지방 차별과 조정의 부패에 항거하여 일으킨 농민 항쟁. 이듬해 관군에게 진압되었다.

홍계남[백세보중(百世葆重 三)3 3 페이지 / 전적]

경기도에서 기병한 의병으로 안성, 양성 및 충청도 읍들을 보호함.

홍계훈(洪啓薰)[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58 페이지 / 전적]

<인명> 조선 고종 때의 무신(?~1895). 자는 성남(聖南). 호는 규산(圭珊). 동학 농민 운동 때에 양호 초토사(兩湖招討使)가 되어 관군 8백 명을 이끌고 전주성을 수복하였으며 이후 을미사변 때에 훈련대장으로 광화문을 지키다가 순직하였다.

홍곡(鴻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74 페이지 / 전적]

「鴻鵠閙心」-孟子 告子篇에 『使弈秋誨二人奕 其一人專心致志惟奕秋之廳 一人雖聽之 一心以爲有鴻鵠將至 援弓繳而射之雖與之俱學 弗若之矣』라 했음.

홍곡(鴻鵠)[별한가 20 페이지 / 전적]

큰 기러기와 고니. 포부가 원대하고 큰 인물을 비유하는 말로도 쓰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