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황하수(黃河水)[옥셜화답 3 페이지 / 전적]
중국 북부를 서에서 동으로 흐르는 중국 제2의 강. 황토와 뒤섞인 누런 강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황하강의 중·하류는 중국 문명의 요람지로서 이름이 높음.
황하수(黃河水)[한양가라 73 페이지 / 전적]
황하의 물.
황하수(黃河水)[옥설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청해성(青海省) 쿤룬산맥에서 발원하여 사천성(四川省), 감숙성, 내몽고자치구, 섬서성(陕西省), 산서성(山西省), 하남성(河南省), 산동성 등 9개성에 걸쳐 있음.
황하수(黃河水)[옥산가라 3 페이지 / 전적]
중국의 ‘황허 강’을 우리 한자음으로 읽은 이름.
황하수(黃河水)[창덕가2 72 페이지 / 전적]
중국문화의 원류가 되는 강.황하(黃河).
황하수(黃河水)[창덕가2 73 페이지 / 전적]
중국문화의 원류가 되는 강.황하(黃河).
황하수……않으니[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71 페이지 / 전적]
황하수는 천 년에 한 번쯤 맑아진다 하는데, 성인이 나오면 맑아진다는 말도 있다.
황하지수 ~물이 밝아[낙지가 4 페이지 / 전적]
황하의 물이 하늘로부터 내려오니 천 년이 지나도록 한결 같이 물이 밝다.
황하지수(黃河之水) 말기로다[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5 페이지 / 전적]
황하는 워낙 장대하여 마를 일이 없으므로 불가능한 일의 비유.
황하지수(黃河之水) 말기로다[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5 페이지 / 전적]
황하는 워낙 장대하여 마를 일이 없으므로 불가능한 일의 비유.
황하지수(黃河之水) 말기로다[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5 페이지 / 전적]
황하는 워낙 장대하여 마를 일이 없으므로 불가능한 일의 비유.
황학[석천집(石川集二-二)2-2 6 페이지 / 전적]
당나라 시인 최호(崔顥)가 지은 <등황학루(登黃鶴樓)>에서, ‘옛사람이 이미 황학을 타고 가버리니 / 이 땅엔 부질없이 황학루만 남았네. / 황학은 한번 가서 돌아올 줄 모르고 / 백운만 천년 세월을 헛되이 떠다니네.‘라고 했다. 이 정자의 이름인 ‘가학(駕鶴)‘이 ‘학을 타다.‘는 뜻이므로, 이 시에서 황학과 백운을 따다가 지은 것이다.
황학(黃鶴)[자치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전설에 나타나는 누런 빛깔의 학.
황학(黃鶴)[잣치가라(치라) 8 페이지 / 전적]
전설에 나타나는 누런 빛깔의 학.
황학(黃鶴)[소상팔경가 6 페이지 / 전적]
전설에 나타나는 누런 빛깔의 학.
황학(黃鶴)[자치가 7 페이지 / 전적]
전설에 나타나는 누런 빛깔의 학.
황학루(黃鶴樓)[퇴계선생등루가(退溪先生登樓歌) 1 페이지 / 전적]
중국 호북성(湖北星) 무창(武昌)에 있는 옛 누각
황학루(黃鶴樓)[권션지로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호북성 무창현 양자강 강변에 있는 누각.
황학루(黃鶴樓)[숙덕부인도덕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호북성 무창에 있는 고루로 양자강을 조망할 수 있는 곳.
황학루(黃鶴樓)[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12 페이지 / 전적]
양자강 중류 호북성 무창현 서쪽 사산(蛇山) 위에 세워진 누각으로 황학바위위에 세워졌다하여 황학루로 불림. 당나라 때 시인인 최호(崔顥)의 <등황학루(登黃鶴樓)>로 유명한 중국의 3대 누각 중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