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황장목(黃腸木)[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31 페이지 / 전적]

재관(榟棺: 임금용의 관)을 만드는데 쓰는 질 좋은 소나무.

황정견(黃庭堅)[석천집(石川集二-四)2-4 44 페이지 / 전적]

蘇軾과 黃庭堅은 中國 北宋代의 文人

황정경[석천집(石川集二-五)2-5 75 페이지 / 전적]

도교의 경서(經書)이니 황정내경경(黃庭內景經) 황정외경경(黃庭外景經) 황정둔갑연신경(黃庭遁甲緣身經) 등의 총칭이다.

황정경(黃庭經)[관동별곡 17 페이지 / 전적]

신선이 옥황상제 앞에서 읽는다는 경전.

황정경(黃庭經)[도덕가(道德歌) 4 페이지 / 전적]

도교의 경전인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 약 5,000 자의 한자로 되어 있어 「五千經」이라고도 이른다.

황정경(黃庭經)[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0 페이지 / 전적]

「黃庭經」-道家의 書名인데 天上의 羣仙誦讀하는 글임. 李白의 前身이 天上의 仙官으로 黃庭經을 외우면서 한 글자를 誤讀하여 上帝의 罰을 입고 人間으로 謫下했다 함.

황정경(黃庭經)[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6 페이지 / 전적]

「黃庭經」―책 이름인데 道家書임. 唐書藝文志에「老子黃庭一卷」이라 했음.

황정경(黃庭經)[춘몽가(츈몽가) 7 페이지 / 전적]

도가의 경서로 양생(養生)과 수련(修練)의 원리를 담고 있어 선도(仙道) 수련의 주요 경전으로 여겨짐.

황정경(黃庭經)[춘몽가(츈몽가) 7 페이지 / 전적]

도가의 경서로 양생(養生)과 수련(修練)의 원리를 담고 있어 선도(仙道) 수련의 주요 경전으로 여겨짐.

황정승(黃政丞)[거창가 29 페이지 / 전적]

세종조의 정승으로, 황희(黃喜)를 이름.

황정승(黃政丞)[거창가 29 페이지 / 전적]

세종조의 정승으로, 황희(黃喜)를 이름.

황정승(黃政丞)[아림가(娥林歌) 32 페이지 / 전적]

세종조의 정승 황희(黃喜).

황정욱(黃廷彧)[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1 페이지 / 전적]

조선 선조 때의 문신(1532~1607). 자는 경문(景文). 호는 지천(芝川). 임진왜란 때, 왕자 순화군(順和君)을 수행하여 강원도와 함경도 지방에서 의병을 모집하다가 왜장에게 붙잡힌 일이 있는데, 후에 이 일 때문에 탄핵을 받고 유배되었다.

황제 폐하께서는……있으니[고봉선생문집 권이(高峰先生文集 券二) 129 페이지 / 전적]

이것은 현종(玄宗)을 칭찬하여 말한 것이다. 내선(內禪)은 내부(內部)의 사람에게 선위(禪位)를 받는 것. 현종은 예종(睿宗)의 세째 아들로 이름은 융기(隆基). 처음에는 임치왕(臨淄王)에 봉해져 있었는데, 재주와 무략(武略)이 뛰어나 위씨(韋氏)의 난을 평정하고 예종을 받들어 즉위하게 하였다가 선위를 받아 등극한 다음, 요숭(姚崇) ,송경(宋璟) 등의 명재상을 발탁하여 개원지치(開元之治)를 이룩하였다. 그러나 천보(天寶) 연간에는 양귀비(楊貴妃)에게 빠지고 간신 이임보(李林甫)를 등용하였으며, 안녹산(安祿山)의 난을 당하자 서촉(西蜀)으로 파천하고 태자에게 양위(讓位)한 다음 상황(上皇)으로 있었다.《新唐書 卷五 玄宗本紀》

황제(黃帝)[츅친서라 8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전설상의 제왕으로 이름은 헌원(軒轅)이다. 복희씨, 신농씨와 함께 삼황(三皇) 또는 오제(五帝)로 불리는데, 처음으로 곡물 재배를 가르치고 문자·음악·도량형 따위를 정하였다고 한다.

황제씨(黃帝氏)[알성가(謁聖歌) 34 페이지 / 전적]

중국의 건국 신화에 나타나는 제왕으로 중국을 처음으로 통일한 군주이자 문명의 창시자로 숭배되고 있음

황제지증손(黃帝之曾孫)[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5 페이지 / 전적]

황제의 증손자.

황조(黃鳥)[사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꾀꼬리

황조(黃鳥)[냥신낙사가(냥신낙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꾀꼬리.

황조(黃鳥)[냥신낙사가(냥신낙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꾀꼬리.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