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황향[효행가(효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왕상(王祥)을 잘못 쓴 것으로 보임. 왕상은 중국 동진(東晋) 때 사람으로 어머니가 병중에 잉어를 먹고 싶다하였는데, 때는 한겨울이라 잉어를 구할 도리가 없었다. 하늘에 기도하니 갑자기 잉어 두 마리가 스스로 얼음을 깨고 나타났다는데서 왕상지효(王祥之孝)라는 고사가 유래하였음.
황향[효행가(효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왕상(王祥)을 잘못 쓴 것으로 보임. 왕상은 중국 동진(東晋) 때 사람으로 어머니가 병중에 잉어를 먹고 싶다하였는데, 때는 한겨울이라 잉어를 구할 도리가 없었다. 하늘에 기도하니 갑자기 잉어 두 마리가 스스로 얼음을 깨고 나타났다는데서 왕상지효(王祥之孝)라는 고사가 유래하였음.
황향(黃香)[계녀사라 4 페이지 / 전적]
한(漢)의 이름난 효자로, 선침온금(扇枕溫衾)의 고사가 전함. 어미를 일찍 잃은 황향이 홀로 남은 아버지를 위해 여름에는 덥지 않게 베개 위에서 부채질을 하고, 겨울에는 춥지 않게 자신의 몸으로 이불을 따뜻하게 덥혀 극진히 모셨다고 함.
황향(黃香)[양친가(養親歌) 5 페이지 / 전적]
중국 동한(東漢) 때 사람으로 지극한 효자로 알려짐
황향(黃香)[명륜가(明倫歌) 23 페이지 / 전적]
후한 때의 강하(江夏) 사람. 9세에 어머니를 잃고 홀로 아버지를 봉양하였는데, 여름에는 베개와 자리에 부채질을 하여 시원하게 해 드리고 겨울에는 몸으로 이불을 따뜻하게 해 드렸다고 함.
황향(黃香)[나부가라(라부가라) 12 페이지 / 전적]
최자(崔滋)의 『보한집(補閑集)』에 나오는 인물로 효성이 극진하여 여름에는 어버이의 베개에 부채질을 하였다고 함.
황향(黃香)[오륜가 2 페이지 / 전적]
최자(崔滋)의 『보한집(補閑集)』에 나오는 인물로 효성이 극진하여 여름에는 어버이의 베개에 부채질을 하였다고 함.
황형(黃衡)[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6 페이지 / 전적]
조선 전기의 무신. 삼포왜란 때 전라좌도 방어사로 제포에서 전공을 세우고 경상도 병마절도사에 임명되었다. 그 후 도총관·훈련원지사를 거쳐 함경도 변경에서 야인이 반란하자 이를 진압했다.
황호을[용문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황호(黃湖)를. 누런 빛의 호수를.
황혼(黃昏)[이화가젼 14 페이지 / 전적]
해가 지고 어스름해질 때. 또는 그때의 어스름한 빛.
황혼(黃昏)[이화가젼 14 페이지 / 전적]
해가 지고 어스름해질 때. 또는 그때의 어스름한 빛.
황혼명월(黃昏明月)[비틀노래 3 페이지 / 두루마리]
해저물녘에 밝게 뜬 달.
황혼무객점(黃昏無客店)[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91 페이지 / 전적]
황천으로 가는 길에 주막조차 없다는데,
황홀(恍惚)[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3 페이지 / 전적]
눈이 부시어 어릿어릿할 정도로 찬란하거나 화려함.
황화 구절을 장한이 지었는데[석천집(石川集二-二)2-2 174 페이지 / 전적]
장한이 지은 <잡시(雜詩)>에 ‘푸른 가지는 푸르름을 모은 것 같고, 노란 국화는 금을 흩은것 같네.[靑條若摠翠, 黃華如散金.]‘라고 했다.
황화(黃花)[해몽가라(몽가라) 18 페이지 / 전적]
국화꽃.
황화(黃花)[북쳔가 26 페이지 / 두루마리]
누런 빛깔의 꽃, 국화의 꽃.
황화수(黃河水)[유소가 7 페이지 / 전적]
중국 서부에서 북부로 흐르는 강. 황토와 뒤섞인 누런 강물로 이루어져 있다.
황황[이별가라 18 페이지 / 전적]
마음이 몹시 급(急)하여 허둥지둥하는 모양.
황황(皇皇)[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5 페이지 / 전적]
「皇皇」- 마음을 定하지 못하는 것을 이름. 禮記에「皇皇然 如有望而弗至」라 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