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회과(悔過)[합강정가(合江亭歌) 16 페이지 / 전적]

허물을 뉘우침.

회과(悔過)[부덕가(婦德歌) 6 페이지 / 전적]

잘못을 뉘우침.

회과(悔過)[경장가(敬長歌) 2 페이지 / 전적]

잘못을 뉘우침.

회구(懷舊)[리행소챙가 29 페이지 / 전적]

회고(懷古).

회구(懷舊)[리행소챙가 65 페이지 / 전적]

옛일을 돌이켜 생각함, 회고(懷古).

회남왕(淮南王)[송강집(松江集五)5 6 페이지 / 전적]

회남왕 안(淮南王安)은 한(漢)나라의 왕자(王子)로 반란을 일으켰음

회남자(淮南子)[화전가1 8 페이지 / 전적]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B,C,123) 성은 유(劉), 이름은 안(安). 고조의 손자로 회남왕(淮南王)에 책봉되었다.

회남자(淮南子)[화전가2 8 페이지 / 전적]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B,C,123) 성은 유(劉), 이름은 안(安). 고조의 손자로 회남왕(淮南王)에 책봉되었다.

회덕 송씨(懷德 宋氏)[상사별곡(상별곡) 17 페이지 / 두루마리]

은진 송씨(恩津 宋氏)가 회덕현에 자리 잡으면서 불리게 된 다른 이름.

회덕 송씨(懷德 宋氏)[상사별곡(상별곡) 17 페이지 / 두루마리]

은진 송씨(恩津 宋氏)가 회덕현에 자리 잡으면서 불리게 된 다른 이름.

회도(晦陶)[비틀노래 4 페이지 / 두루마리]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 1491-1553)과 도산(陶山)에 살았던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을 말함.

회두염염(回頭念念)[도덕가(道德歌) 2 페이지 / 전적]

머리를 돌려 깊이 생각한 것

회란(回鑾)[송강집(松江集六)6 139 페이지 / 전적]

임금의 환궁(還宮)을 이름. 회필(回蹕)과도 같음

회령(會寧)[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4 페이지 / 전적]

함경북도 회령군에 있는 읍으로 만주와의 교통 요충지이며, 석탄·목재·곡물 따위의 집산지이다.

회령읍[팔역가(八域歌) 6 페이지 / 전적]

함경북도 북부, 6진이 있던 곳

회로하다[화전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가던 길을 돌아오다. 여기서는 ‘넘어가다’로 보아야 한다..

회룡(回龍)고조(顧祖)[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9 페이지 / 전적]

용이 제 몸을 휘감고 돌아보는 형국의 명당.

회룡고조(回龍顧祖)[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36 페이지 / 전적]

산이 뻩어 내리다가 모체를 다시 돌아보는 형상.

회룡은산(回龍隱山)[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12 페이지 / 전적]

용이 고개를 돌리어 산 멀리로 돌아가는 형상.

회마(回馬)[우미인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말을 돌려보냄, 돌아가는 편의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