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낙목한천(落木寒天)[화류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낙엽 떨어진 나무와 차가운 하늘. 추운 겨울철
낙민(洛閩)[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7 페이지 / 전적]
「洛閩」- 宋의 程明道, 伊川 兄第가 다 洛人이요 朱子는 閩人 이므로 後人의 程朱學을 洛閩의 學이라 함.
낙민루[팔역가(八域歌) 9 페이지 / 전적]
함경남도 함흥에 있는 누각
낙반사유(落盤四乳)[자연천의설(自然天意說) 4 페이지 / 전적]
낙반사유는 송아지의 출산에서 유래된 말로 낙반이란 송아지가 어미 소의 다리에서 떨어져야 태반을 벗어나 새 생명을 얻게 된다는 것을 사유란 소의 젓꼭지가 네 개임을 이르는 말이다.즉, 낙반사유란 개벽의 대환란으로부터 구원의, 생명의 젖줄을 내려주는 구원의 절대자가 네 분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낙빈가(樂貧歌)[회츈가라 4 페이지 / 전적]
강촌별곡.
낙빈가(樂貧歌)[영산초장이라 2 페이지 / 전적]
강촌별곡.
낙빈왕(駱賓王)[춘몽가(츈몽가) 9 페이지 / 전적]
초당사걸(初唐四傑)'로 일컬어졌던 중국 초당(初唐)의 시인.육조(六朝)의 시풍을 계승하면서도 격조가 청려(淸麗)했고, 노조린과 함께 칠언가행(七言歌行)에 뛰어남.대표작으로는 <제경편(帝京篇)>이 《당시선(唐詩選)》에 수록되어 있고, 시문집으로는 《낙빈왕 문집》,《낙임해집(駱臨海集)》등 10권이 있음.
낙빈왕(駱賓王)[춘몽가(츈몽가) 9 페이지 / 전적]
초당사걸(初唐四傑)'로 일컬어졌던 중국 초당(初唐)의 시인.육조(六朝)의 시풍을 계승하면서도 격조가 청려(淸麗)했고, 노조린과 함께 칠언가행(七言歌行)에 뛰어남.대표작으로는 <제경편(帝京篇)>이 《당시선(唐詩選)》에 수록되어 있고, 시문집으로는 《낙빈왕 문집》,《낙임해집(駱臨海集)》등 10권이 있음.
낙사(樂事)[냥신낙사가(냥신낙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즐거운 일.
낙사(樂事)[냥신낙사가(냥신낙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즐거운 일.
낙사(樂事)[사모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즐거운 일.
낙사(樂事)[칠여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재미 붙일 만한 일.
낙사(樂事)[회혼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재미 붙일 만한 일.
낙산사(洛山寺)[사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전진리 낙산에 있는 절. 신라 문무왕 16년(676)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창건했다고 한다
낙산사(洛山寺)[석천집(石川集二-三)2-3 63 페이지 / 전적]
강원도 양양군에 있는 절로 관동팔경의 하나다. 신라시대에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창건했다.
낙산사(洛山寺)[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6 페이지 / 전적]
강원도 양양군에 있는 절.
낙산시(落山寺)[관동별곡 12 페이지 / 전적]
양양 동쪽 바닷가에 위치한 절로서, 관동팔경의 하나.
낙상(落傷)[회초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떨어지거나 넘어져서 다침.
낙서(洛書)[해몽가라(몽가라) 6 페이지 / 전적]
중국 하(夏)나라의 우왕(禹王)이 홍수를 다스렸을 때 낙수(洛水)에서 나온 거북의 등에 쓰여 있었다는 글. 이것을 바탕으로 우왕이 ‘홍범구주(洪範九疇)’를, 문왕이 ‘후천팔괘’를 만들었다 함.
낙서(洛書)[천황이복강어환과고독가(天皇이福降於鰥寡孤獨歌) 10 페이지 / 전적]
중국(中國) 하(夏)나라의 우왕(禹王)이 홍수(洪水)를 다스렸을 때, 낙수(洛水)에서 나온 영묘(靈妙)한 거북의 등(等)에 쓰여 있었다는 글. 서경(書經)의 홍범구주(洪範九疇)의 원본(原本)이 되었다하며, 팔괘(八卦)의 법도 여기서 나왔다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