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2,070개

낙치부생(落齒復生)[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10 페이지 / 전적]

빠진 이가 다시 남. 젊음을 되찾음을 의미.

낙치부생(落齒復生)[뎡슝샹회방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늙어서 빠진 이가 다시 남.

낙태(落胎)[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33 페이지 / 전적]

낙태.

낙토생민(樂土生民)[명륜가(明倫歌) 48 페이지 / 전적]

낙원의 백성.

낙포(洛浦)[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38 페이지 / 전적]

「洛浦凌波」―曹子建의 洛神賦에「凌步微步 羅襪生塵」의 句가 있어서 이는 洛水에 溺死한 宓妃의 神를 말한 것인데 뒤에 美人의 步履가 輕捷함을 형용하는 말로 쓰여지고 있음.

낙포선녀(洛浦仙女)[남은곡 권지단이라 21 페이지 / 전적]

낙포의 딸. 낙포의 선녀. 복희씨(伏羲氏)의 딸 복비(宓妃)를 일컬음. 그녀는 낙수에 익사(溺死)하여 낙수의 신이 되었다 함. 위(魏)나라 조식(曹植)이 조비(曹丕)의 왕후가 된 옛 정인의 혼을 낙수(洛水)가에서 만나보고, 그 일을 낙수신 복비를 만나는 것으로 비유하여 「洛神賦(낙신부)」를 지었음.

낙필(落筆)[죽엽가(쥭엽가) 9 페이지 / 전적]

붓을 들어 그림을 그리거나 글씨를 씀.

낙하부(落霞賦)[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83 페이지 / 전적]

「落霞賦」- 唐 詩人 王勃이 十二歲때 滕王閣序를 지었는데 그警句로 「落霞與孤∝齊飛 秋水共長天一色」이 있어, 古今에 膾炙하였다. 그래서 그 落霞를 題로 삼아 이 賦를 지은 것임.

낙행우위(樂行憂違)[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30 페이지 / 전적]

「樂行憂違」- 易乾文言에 『樂則行之 憂則違之 確乎其不可拔 港龍也』라 하였 음.

낙화 진 빈산에[청춘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꽃잎이 떨어진 빈 산에

낙화(落花)[비틀노래 2 페이지 / 두루마리]

떨어진 꽃잎.

낙화(落花)[한별곡 7 페이지 / 전적]

꽃이 떨어짐.

낙화낙엽(落花落葉)[청춘사연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꽃이 떨어지고 잎이 떨어짐.

낙화담(落花潭)[가야희인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가야산 홍류동 계곡에 있는 못.

낙화방초[은삭가 8 페이지 / 전적]

떨어진 꽃과 향기 나는 풀.

낙화방초[은삭가 8 페이지 / 전적]

떨어진 꽃과 향기 나는 풀.

낙화분분(洛花紛紛)[명궁처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꽃잎이 어지러이 흩날림.

낙화암(洛花巖)[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4 페이지 / 전적]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부소산에 있는 큰 바위. 백제가 망할 때 삼천 궁녀가 이 바위에서 백마강에 몸을 던져 죽었다는 전설이 있다.

낚시대를 드리우고[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56 페이지 / 전적]

고기 낚기를 여기 저기서 하고.산의 형상을 은유한 것.

낚시하고 담 쌓던[석천집(石川集二-二)2-2 120 페이지 / 전적]

강태공이 문왕을 만나기 전까지 낚시질을 하며 세월을 보내다가, 무왕을 도와 은나라를 치고 주나라를 세우는데 힘썼다. 부열(傅說)은 부암에 숨어 살며 담을 쌓아 먹고 살다가, 고종이 꿈속에 그를 보고 만나서 경륜을 들은 뒤에 재상을 삼았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