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망극(罔極)[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1 페이지 / 전적]
임금이나 어버이의 은혜가 한이 없음.
망극(罔極)[헌수가(헌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어버이의) 은혜가 한이 없다.
망극(罔極)[헌수가(헌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어버이의) 은혜가 한이 없다.
망극(罔極)[한양가라 75 페이지 / 전적]
임금이나 어버이의 은혜가 한이 없다.
망극(罔極)[북쳔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임금의 은혜가 이루 말할 수 없이 큼.
망극(罔極)[셔유곡 6 페이지 / 전적]
그지없음.
망극(罔極)[군산월애원가(군월원가) 16 페이지 / 전적]
어버이나 임금에게 상서롭지 못한 일이 생기게 되어 지극히 슬픔.
망극(罔極)[남산동이진사효행록(남동이진효횡녹) 2 페이지 / 전적]
어버이나 임금에게 상서롭지 못한 일이 생기게 되어 지극히 슬픔.
망극(罔極)[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14 페이지 / 전적]
임금이나 부모(父母)의 은혜(恩惠)가 너무 커서 갚을 길이 없음.
망극(罔極)[연행별곡(연별곡) 4 페이지 / 전적]
임금이나 부모(父母)의 은혜(恩惠)가 너무 커서 갚을 길이 없음.
망극(罔極)[녁대가(녁가) 14 페이지 / 전적]
(임금이나 어버이의) 은혜가 끝이 없음.
망극지통(罔極之痛)[조심가라 23 페이지 / 전적]
한이 없는 슬픔. 보통 임금이나 어버이의 상사(喪事)에 쓰는 말.
망극지통(罔極之痛)[조심가라 23 페이지 / 전적]
한이 없는 슬픔. 보통 임금이나 어버이의 상사(喪事)에 쓰는 말.
망극지통(罔極之痛)[환무자탄가 3 페이지 / 전적]
한량이 없는 슬픔. 어버이나 임금의 상사(喪事)를 당했을 때 쓰는 말.
망극통[앤여가(여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망극애통(罔極哀痛). 다할 수 없는 슬퍼함.
망기(忘機)[ 1 페이지 / ]
세속의 일이나 사사로운 욕심을 잊어버림
망기본(忘基本)[의로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근본을 잊어버림.
망기본(忘基本)[의로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근본을 잊어버림.
망념[팔역가(八域歌) 6 페이지 / 전적]
생각이 부족함
망녕(妄佞)[백발가(白髮歌) 10 페이지 / 전적]
늙거나 정신이 흐려서 말이나 행동이 정상을 벗어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