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망발(妄發)[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7 페이지 / 전적]
말이나 행동을 잘못하여 자신이나 조상을 욕되게 함.
망발(妄發)[대비훈민가 4 페이지 / 전적]
①그릇되게 하여 자신(自身)에게나 조상(祖上)에게 욕이 되는 말이나 행동(行動) ②자신(自身)에게나 조상(祖上)에게 욕이 되는 말이나 행동(行動)을 함.
망발(妄發)[후원초당 봄이듯이 9 페이지 / 두루마리]
망령이나 실수로 그릇된 말이나 행동을 함.
망발(妄發)[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8 페이지 / 전적]
①그릇되게 하여 자신(自身)에게나 조상(祖上)에게 욕이 되는 말이나 행동(行動) ②자신(自身)에게나 조상(祖上)에게 욕이 되는 말이나 행동(行動)을 함.
망부석(望夫石)[초한가(楚漢歌) 5 페이지 / 전적]
아내가 멀리 떠난 남편을 기다리다가 죽어서 화석이 되었다는 전설의 돌, 또는 그 위에서 기다렸다는 돌을 말한다. 망부석 전설은 한국의 여러 지방에 전하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신라 눌지왕(訥祗王) 때 박제상(朴堤上)의 아내에 대한 전설이 있다. 박제상이 일본에 볼모로 있는 왕자를 구출하고 자신은 체포되어 죽음을 당하여 돌아오지 않자, 그의 아내는 수릿재[치술령(鵄述嶺)]에 올라가 높은 바위 위에서 멀리 왜국을 바라보며 통곡하다가 그대로 돌부처가 되어 수릿재 신모(神母)가 되었고, 그 바위를 뒷날 사람들이 망부석이라 불렀다.
망부석(望夫石)[후원초당 봄이듯이 5 페이지 / 두루마리]
정조를 굳게 지키던 아내가 멀리 떠난 남편을 기다리다 그대로 죽어 화석이 되었다는 전설적인 돌. 또는 아내가 그 위에 서서 남편을 기다렸다는 돌.
망부지한(亡夫之恨)[리행소챙가 52 페이지 / 전적]
남편과 사별한 회한.
망부한(亡夫恨)[별한가 7 페이지 / 전적]
남편을 여읜 한(恨).
망사(忘死)하고[심심가(尋心歌) 51 페이지 / 전적]
망사생(忘死生)하고. 죽고 사는 것을 돌아보지 아니하고.
망사(忘死)하고[심심가(尋心歌) 51 페이지 / 전적]
망사생(忘死生)하고. 죽고 사는 것을 돌아보지 아니하고.
망석중[거창가 30 페이지 / 전적]
망석중 놀이의 주인공인 파계승을 말함.
망석중[거창가 30 페이지 / 전적]
망석중 놀이의 주인공인 파계승을 말함.
망석중[아림가(娥林歌) 33 페이지 / 전적]
① 나무로 다듬어 만든 인형의 하나. 팔다리에 줄을 매어 그 줄을 움직여 춤을 추게 한다. ② 남이 부추기는 대로 따라 움직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망신(妄信)[조심가라 37 페이지 / 전적]
옳지 못한 것을 그릇되게 함부로 믿음.
망신(妄信)[조심가라 37 페이지 / 전적]
옳지 못한 것을 그릇되게 함부로 믿음.
망신고혼(亡身孤魂)[소상팔경가 12 페이지 / 전적]
말이나 행동을 잘못하여 외로운 넋.
망신살(亡身煞)[자치가라 15 페이지 / 두루마리]
몸을 망치거나 망신을 당할 운수.
망신살(亡身煞)[소상팔경가 15 페이지 / 전적]
몸을 망치거나 망신을 당할 운수.
망신살(亡身煞)[자치가 18 페이지 / 전적]
몸을 망치거나 망신을 당할 운수.
망신폐가(亡身廢家)[후원초당 봄이듯이 9 페이지 / 두루마리]
집안의 재산을 다 써 없애고 몸을 망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