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3,953개

무비(無備)[여행록이라(여녹이라) 19 페이지 / 전적]

방비나 준비가 없음.

무비(無備)[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4 페이지 / 전적]

군사에 관련된 장비. 또는 그 장비를 준비하는 일.

무비(無比)[형제붕우소회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비할 바 없음.

무비(無非)[오륜가라 12 페이지 / 전적]

‘아니 그러한 것이 없이 모두’라는 뜻.

무비(無非)[자치가 7 페이지 / 전적]

아닌 그런 것이 없음.모두가 다 그러함.

무비다[형제붕우소회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비할 바 없이 모두.

무비다 리라[형제붕우소회가라 12 페이지 / 두루마리]

무비(無比)다 꿈결이라.

무비다생부모(無非多生父母)[권왕가 25 페이지 / 전적]

모두 부모로부터 태어나지 아니함이 없음.

무사(武士)[한양가라 35 페이지 / 전적]

무예를 익히어 그 방면에 종사하는 사람.

무사(誣辭)[몽경시화가(夢警時和歌) 17 페이지 / 전적]

무당 이야기.

무사객(無事客)[도슈샤 9 페이지 / 전적]

일 없는 나그네. 곧 작자 자신.

무사객(無事客)[권학가 1 페이지 / 전적]

일 없는 나그네. 곧 작자 자신.

무사불복(無思不服)[가사소리 6 페이지 / 전적]

생각하여 복종하지 않음이 없음.

무사순성(無事順成)[무제(양신택졍하여) 5 페이지 / 전적]

아무 일 없이 거침없이 잘 이룸.

무사처연(無事悽然)[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1 페이지 / 두루마리]

애달프고 구슬픈 일이 없다.

무사처연(無事悽然)[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1 페이지 / 두루마리]

위 구절은 당(唐)나라 때의 시인 고적(高適)

무사처연(無事悽然)[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1 페이지 / 두루마리]

애달프고 구슬픈 일이 없다.

무사처연(無事悽然)[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1 페이지 / 두루마리]

위 구절은 당(唐)나라 때의 시인 고적(高適)

무산[팔역가(八域歌) 20 페이지 / 전적]

중국 사천성 무산현의 산 이름

무산(無算)[후임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이루 다 헤아릴 수 없이 많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