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3,953개

무염지욕(無厭之慾)[가사소리 12 페이지 / 전적]

물리지 않는 욕망.

무영수(無影樹)[초암가 3 페이지 / 전적]

그림자 없는 나무.

무오(戊午)[율국회초가(뉼국회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1918년으로 추정.

무오(戊午)[율국회초가(뉼국회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1918년으로 추정.

무오년(戊午年)[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3 페이지 / 전적]

서기 1689년.

무오년(戊午年)[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5 페이지 / 두루마리]

1918년으로 추정.

무오년(戊午年)[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5 페이지 / 두루마리]

1918년으로 추정.

무오사화(戊午士禍)[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4 페이지 / 전적]

조선 연산군 4년(1498)에 유자광 중심의 훈구파가 김종직 중심의 사림파에 대해서 일으킨 사화이다. 4대 사화 가운데 첫 번째 사화로,

무왕[팔역가(八域歌) 13 페이지 / 전적]

이름은 발, 성은 희, 서백의 큰 아들

무왕(周武王)[슈절자탄가 6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주(周)를 건국한 왕.

무왕(周武王)[슈절자탄가 6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주(周)를 건국한 왕.

무왕(武王)[경술가 3 페이지 / 전적]

주(周)나라 문왕(文王)의 아들. 이름은 발(發). 목야(牧野)의 전투에서 은나라의 주(紂)왕을 물리치고 문왕의 대를 이어 주나라를 크게 일으킴.

무왕(武王)[퇴계선생등루가(退溪先生登樓歌) 1 페이지 / 전적]

중국 주(周)나라 문왕(文王)의 맏아들로 봉건제도를 창설함.

무왕(武王)[옥셜화답 6 페이지 / 전적]

주 문왕(文王) 희창(?昌)의 둘째아들로서, 이름은 발(發). 기원전 1050년 무렵부터 문왕의 뒤를 이어 관중(關中) 평야에 중심지를 둔 주족(周族)을 이끌었으며, 서쪽 제후들을 규합해 상(商)을 멸망시키고 주를 건국하였음.

무왕(武王)[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7 페이지 / 전적]

문왕(文王)을 잘못 쓴 것임.

무왕(武王)[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7 페이지 / 전적]

문왕(文王)을 잘못 쓴 것임.

무왕(武王)[한양가라 13 페이지 / 전적]

주(周)나라를 세운 무왕을 말함.

무왕(武王)[창덕가2 59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주(周)를 건국한 왕으로, 기원전 1046년 서쪽 제후들을 규합하여 상(商)을 멸망시키고 호경(鎬京)으로 도읍을 옮기고 봉건제도를 실시함.

무왕(武王)[창덕가2 60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주(周)를 건국한 왕으로, 기원전 1046년 서쪽 제후들을 규합하여 상(商)을 멸망시키고 호경(鎬京)으로 도읍을 옮기고 봉건제도를 실시함.

무왕(武王)의 효성[계녀사라 4 페이지 / 전적]

<소학(小學)> 「계고(稽古)」 제9장에 나오는 무왕의 고사임. 무왕은 효성이 지극했는데, 부친인 문왕이 병이 났을 때 관대(冠帶)를 벗지 않고 봉양했으며, 문왕이 밥을 한 번 먹으면 한 번 먹고, 두 번 먹으면 따라 두 번 먹으며 효를 다했다고 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