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무산고락(無算苦樂)[경노의심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괴로움과 즐거움에 대해 생각하지 않음.
무산대에[화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무산(巫山)의 높은 봉. 신선이 살고 있다는 무산은 12봉으로 이루어져 있다.
무산선녀[우미인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의 전설에서 얼굴이 몹시 곱고 아름답다는 선녀.
무산선녀[갑지녹이라 22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전설에서 얼굴이 몹시 곱고 아름답다는 선녀.
무산선녀[갑지녹이라 21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전설에서 얼굴이 몹시 곱고 아름답다는 선녀.
무산선녀[우미인가라 1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전설에서 얼굴이 몹시 곱고 아름답다는 선녀.
무산선녀(巫山仙女)[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7 페이지 / 전적]
무산은 중국 사천성(四川省) 무산현의 동쪽에 있는 명산으로, ‘무산지몽(巫山之夢)’ 고사가 전함. 전국시대 초(楚)나라 양(襄)왕이 운몽(雲夢)의 고당(高唐)에서 노닐 때 미모의 여인과 사랑을 나눈 꿈을 꾸었다는 고사로서, 남녀간의 은밀한 정교(情交)를 뜻함. 무산선녀는 이때 양왕의 꿈에 나왔던 아름다운 여인을 말함.
무산선녀(巫山仙女)[유경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초(楚)나라의 양왕(襄王)이 무산(巫山)의 고당(高唐)이란 누대(樓臺)에서 낮잠을 자다가 무산의 신녀(神女)를 만나 남녀의 사랑을 나누었다는 고사(故事)에서 나온 말.
무산선녀(巫山仙女)[유경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초(楚)나라의 양왕(襄王)이 무산(巫山)의 고당(高唐)이란 누대(樓臺)에서 낮잠을 자다가 무산의 신녀(神女)를 만나 남녀의 사랑을 나누었다는 고사(故事)에서 나온 말.
무산선녀(巫山仙女)[뎡슝샹회방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전설에서, 얼굴이 매우 예쁘고 아름답다는 선녀.
무산선녀(巫山仙女)[쌍옥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무산에 살고 있는 선녀. 전국시대 초나라 회왕이 낮잠을 자다가 무산의 산에서 무산선녀를 만나 운우지락(雲雨之樂)을 나눴다는 고사에 나오는 여인.
무산십이봉(巫山十二峰)[쥭매곡(쥭곡) 3 페이지 / 전적]
신선 정원의 골격을 이루는 형태.
무산자(無産者)[추월감 7 페이지 / 두루마리]
가진 것이 없는 사람.
무산자(無産者)[반심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가진 재산이 없는 사람.
무삼[모여상사가라(모여사가라) 6 페이지 / 전적]
무슨.
무삼나히[상사곡이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무슨 나이.
무삼일고[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무슨 일인가
무삼일고[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무슨 일인가
무삼일고[나부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무슨 일인가.
무삼일고[모여상사가라(모여사가라) 12 페이지 / 전적]
무슨 일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