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무왕(武王)이 벌주(伐紂)[옥설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상나라 주왕이 무도하자 주나라 무왕은 하남성(河南省)의 목야(牧野)에서 상(商)의 70만 대군(大軍)과 맞섰는데, 상군(商軍)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었던 노예병들의 반란으로 큰 승리를 거둠. 패배한 주왕(紂王)은 녹대(鹿臺)에서 자살하였고, 상(商)은 주(周)에 점령되어 멸망한 사건.
무왕벌주(武王伐紂)[조심가라 13 페이지 / 전적]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를 정벌하려 함.
무왕벌주(武王伐紂)[조심가라 13 페이지 / 전적]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를 정벌하려 함.
무왕불복(无往不復)[해몽가라(몽가라) 11 페이지 / 전적]
주역 태괘의 세번째 효사. (하늘의 운행은 순환하는 것이니) 가서 되돌아오지 않는 것이 없다는 뜻.
무왕불복(無往不復)[몽경시화가(夢警時和歌) 14 페이지 / 전적]
한 번 갔다가 다시 되돌아오지 않음이 없다.
무왕불복(無往不復)[론학가권지일 34 페이지 / 전적]
갔다가 돌아오지 않음이 없음.
무왕불복(無往不復)[론학가권지일 34 페이지 / 전적]
갔다가 돌아오지 않음이 없음.
무왕불복(無往不復)[교훈가 2 페이지 / 전적]
갔다가 다시 돌아오지 않는 것이 없음.
무왕불복(無往不復)[창덕가2 73 페이지 / 전적]
결국 가면 반드시 돌아올 수밖에 없다는 것.
무왕불복(無往不復)[창덕가2 74 페이지 / 전적]
결국 가면 반드시 돌아올 수밖에 없다는 것.
무왕불복(無徃不復)[경화가(警和歌) 20 페이지 / 전적]
가서 돌아오지 않음이 없음.
무왕불복(無徃不復)[경화가(警和歌) 20 페이지 / 전적]
가서 돌아오지 않음이 없음.
무왕불복(無徃不復)[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10 페이지 / 전적]
가고서 돌아오지 않음이 없다.
무왕불복(無徃不復)[회과자책가(悔過自責歌) 2 페이지 / 전적]
가고서 돌아오지 않음이 없다.
무왕지덕(武王之德)[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1 페이지 / 전적]
무왕의 덕. 무왕은 기원전 1046년 서쪽 제후들을 규합하여 은(殷)나라를 멸망시키고 주(周)나라를 건국하였음.
무왕지덕(武王之德)[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1 페이지 / 전적]
무왕의 덕. 무왕은 기원전 1046년 서쪽 제후들을 규합하여 은(殷)나라를 멸망시키고 주(周)나라를 건국하였음.
무왕후비(武王后妃)[계녀사라 7 페이지 / 전적]
주(周) 무왕의 비.
무용(無用)[허후전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쓸모가 없음.
무용지물(無用之物)[사향곡(향곡) 11 페이지 / 전적]
쓸모없는 물건이나 사람.
무우[팔역가(八域歌) 5 페이지 / 전적]
논어에 나오는 말로 무귀영, 곧 자연에서 풍류를 즐기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