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3,953개

무삼졔로[상사곡이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무슨 죄로.

무상(毋上)[경명가(敬命歌) 6 페이지 / 전적]

위로 올라가서는 안 됨.

무상(無常)[자책가(가) 16 페이지 / 전적]

모든 것은 생멸 변전(生沒變轉)하여 상주(常住)함이 없는 것.

무상(無常)[경노의심곡 12 페이지 / 두루마리]

모든 것이 아무 보람도 없이 헛되고 덧없음.

무상(無常)[고분가 18 페이지 / 전적]

모든 것이 덧없음.

무상(無常)[고분가 18 페이지 / 전적]

모든 것이 덧없음.

무상(無常)[가야희인곡 7 페이지 / 두루마리]

덧없음.

무상(無想)[자치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생각이 없다는 뜻이나 여기서는 수상하다는 뜻.

무상(無狀)[명륜가(明倫歌) 62 페이지 / 전적]

아무렇게나 함부로 굴어 버릇이 없음.

무상(舞翔)[나웅하상토굴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춤을 춤.

무상방탕(無狀放蕩)[명륜가(明倫歌) 24 페이지 / 전적]

아무렇게나 함부로 굴며 주색잡기에 빠져 행실이 좋지 못함.

무상법(無上法)[일회심곡(一回心曲) 10 페이지 / 전적]

더할 나위 없이 좋은 법.

무상설법(無相說法) 무상(無相) 설법(說法)[자책가(가) 15 페이지 / 전적]

집착을 떠난 경지의 설법. ① 사물이나 현상이 존재하지 않음. ② 모든 집착을 떠난 경지. 담의(談義). 불교의 교의(敎義)를 풀어 밝히는 것.

무상원(無常院)[권왕가 55 페이지 / 전적]

① 죽음을 앞둔 병자들을 모아 정토를 가르치고 염불을 외게 하여 세상의 집착을 버리게 하는 곳. ② 중이나 속인들의 병든 사람을 치료하는 곳.

무상출입(無常出入)[오륜가라 18 페이지 / 전적]

아무 때나 거리낌 없이 드나듦.

무상출입(無常出入)[가사소리 18 페이지 / 전적]

아무 때나 거리낌 없이 드나듦.

무색[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30 페이지 / 전적]

물감을 들인 빛깔.

무생(無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69 페이지 / 전적]

「無生」―佛家의 用語인데 그 敎가 不生不滅을 義로 삼기때문임.王維詩에 「欲知除老病 惟有學無生 의 句가 있음.

무생법(無生法)[권왕가 7 페이지 / 전적]

무생(無生)의 법. 불변의 진리. 무생(無生) : 생(生)함이 없음. 즉, 일체의 사물이나 현상이 공(空)이므로 생멸(生滅)의 변화란 있을 수 없다는 말.

무생법(無生法)[권왕가 8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64 참조. 증득(證得) : 수행(修行)에 의해 진리를 깨닫고, 지혜와 공덕을 체득하는 것.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