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역발산(力拔山) 기개세(氣蓋世)[춘산채지가(春山采之歌) 4 페이지 / 전적]
힘은 산을 뽑을 만하고 기운은 세상을 덮을 만함.
역발산기개세(力拔山氣蓋世)[창덕가2 6 페이지 / 전적]
항우(項羽)가 유방(劉邦)에게 포위되었을 때, 한나라 군사들이 부르는 초나라 민요를 들으며 착잡한 마음을 달래려고 지은 칠언절구 <해하가(垓下歌)>의 한 구절.'힘이 산을 뽑음이여! 기운이 온 누리를 덮을 만하도다.때가 이롭지 아니함이여! 준마도 달리지 않도다.준마도 닫지 아니함이여! 어떻게 할까? 우미인이여! 우 미인이여! 어찌할꼬!
역발산기개세(力拔山氣蓋世)[창덕가2 103 페이지 / 전적]
힘은 산을 뽑을 만큼 매우 세고 기개는 세상을 덮을 만큼 웅대함을 이르는 말.
역발산기개세(力拔山氣蓋世)[창덕가2 6 페이지 / 전적]
항우(項羽)가 유방(劉邦)에게 포위되었을 때, 한나라 군사들이 부르는 초나라 민요를 들으며 착잡한 마음을 달래려고 지은 칠언절구 <해하가(垓下歌)>의 한 구절.'힘이 산을 뽑음이여! 기운이 온 누리를 덮을 만하도다.때가 이롭지 아니함이여! 준마도 달리지 않도다.준마도 닫지 아니함이여! 어떻게 할까? 우미인이여! 우 미인이여! 어찌할꼬!
역발산기개세(力拔山氣蓋世)[창덕가2 104 페이지 / 전적]
힘은 산을 뽑을 만큼 매우 세고 기개는 세상을 덮을 만큼 웅대함을 이르는 말.
역발산혜기개세(力拔山兮氣蓋世) 시불리혜추불서(時不利兮騅不逝) 추불서혜가내하(騅不逝兮可奈何[초한가라 21 페이지 / 전적]
산을 뽑고 세상을 뒤엎을 힘과 기개를 타고났음에도 시운을 얻지 못함이여 낸들 어이 할거나 나의 사랑하는 오추마여 달리지 않음을 어이하랴 우미인, 우미인 그대와 헤어져야 하다니 어찌하랴, 어이하랴.(항우, <虞兮>.)
역발산혜기개세(力拔山兮氣蓋世)[춘화추동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우미인이 지은 노래 해하가(垓下歌)의 구절.
역법(曆法) 창기(創基)[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3 페이지 / 전적]
천체의 주기적 현상을 기준하여 시간을 구분하고 날짜의 순서를 매기는 방법. 기초를 열기 시작하는 것.
역법(曆法)[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0 페이지 / 전적]
천체의 주기적 현상을 기준으로 하여 세시(歲時)를 정하는 방법.
역사(役事)[가사소리 15 페이지 / 전적]
토목이나 건축 따위의 공사.
역사(力士)[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6 페이지 / 전적]
뛰어나게 힘이 센 사람.
역산(歷山)[녁대가(녁가) 12 페이지 / 전적]
중국 산동성(山東省) 만남(滿南)의 교외에 있는 산 이름. 순임금이 임금이 되기 전에 이곳에서 밭을 갈았다고 함.
역산(曆山)[나부가라(라부가라) 11 페이지 / 전적]
순임금이 갈았던 밭이 있는 산이름.
역산(曆山)[오륜가 1 페이지 / 전적]
순임금이 갈았던 밭이 있는 산이름.
역산(曆筭)[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3 페이지 / 전적]
책력(冊曆)과 산술(算術)에 관한 학문. 역산(曆算)과 같음.
역산(曆筭)[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3 페이지 / 전적]
책력(冊曆)과 산술(算術)에 관한 학문. 역산(曆算)과 같음.
역산(歷山)[효성가라 1 페이지 / 전적]
순 임금이 황제에 오르기 전에 부모를 모시고 농사를 지으며 살았던 곳.
역산(歷山)[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5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지명. 역산(歷山)의 농장에서 농지의 경계 때문에 분쟁이 있었는데 순(舜)이 가서 몸소 일을 하였더니 모두 그의 덕(德)에 감화되어 1년 만에 분쟁이 사라졌다는 임금이 되기 전의 일화가 있음.
역산(歷山)[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5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지명. 역산(歷山)의 농장에서 농지의 경계 때문에 분쟁이 있었는데 순(舜)이 가서 몸소 일을 하였더니 모두 그의 덕(德)에 감화되어 1년 만에 분쟁이 사라졌다는 임금이 되기 전의 일화가 있음.
역산경부(歷山耕夫) 유우씨(有虞氏)[알성가(謁聖歌) 34 페이지 / 전적]
순(舜) 임금을 비유. 순 임금이 제왕이 되기 전 역산에서 밭을 갈고 살았던 데서 연유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