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연강(煙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13 페이지 / 전적]

「一葉眞人」― 漢元狩中에 東南의 守臣이 말하기를 「매양보면 異人이 있어 큰 蓮잎이 배와 같은 것을 타고 물위에 떠누워서 글월을 보므로 邑人이 모여 구경하자 異人은 보이지 아니하고 蓮葉과 책만 남아있는데 책은 다 古菉文으로 되어서 두루 물어보았으나 아는 자가 없었다. 유독 東方朔이 알고서 「이는 天神太乙의 秘書이다」하였음. 韓子蒼의 太乙眞人蓮葉圖詩에「太乙眞人蓮葉舟 臥看玉字浮中流」라는 句가 있음.

연개소문(淵蓋蘇文)[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24 페이지 / 전적]

고구려의 정치가ㆍ장군(?~665). 대대로(大對盧)가 된 후 영류왕을 죽이고 보장왕을 추대하고 스스로 대막리지(大莫離支)가 되어 정권을 장악하였다. 보장왕 3년(644)에 당 태종의 17만 대군을 안시성에서 격파하였다.

연경(煙景)[남여동락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구름이나 연기 따위가 한가로이 어리어 있는 아름다운 경치.

연경(煙景)[남여동락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구름이나 연기 따위가 한가로이 어리어 있는 아름다운 경치.

연경도적(燕京盜賊)[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23 페이지 / 전적]

청(淸)나라를 지칭하는 말. 반청(反淸) 의식이 담긴 표현.

연경도적(燕京盜賊)[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23 페이지 / 전적]

청(淸)나라를 지칭하는 말. 반청(反淸) 의식이 담긴 표현.

연계烟溪[ 1 페이지 / ]

연무가 끼어 있는 계곡. 봄날의 시내.

연고(然故)[근농가(勤農歌) 5 페이지 / 전적]

연고(緣故)의 잘못된 표기. 까닭.

연고(然故)[경세가(警世歌) 1 페이지 / 전적]

연고(緣故)의 잘못된 표기. 까닭.

연고(然故)[승차선비가(乘車船飛歌) 3 페이지 / 전적]

그러한 까닭으로.

연고(緣故)[자책가(가) 9 페이지 / 전적]

사정 까닭. 또는, 인연(인연).

연고(緣故)[한양가라 14 페이지 / 전적]

까닭. 사유(事由).

연고(緣故)[낙향이별가 5 페이지 / 전적]

인연.

연고(年高)[여자행신가 4 페이지 / 전적]

연로(年老). 나이가 많음.

연고(年高)[여자행신가 4 페이지 / 전적]

연로(年老). 나이가 많음.

연과계화(蓮果桂花)[팔도안희가 19 페이지 / 전적]

연과(蓮果)는 연꽃의 열매로 이 소리를 빌려 연과(連果), 곧 과거에 연달아 합격하다는 뜻으로 쓰인다. 계화(桂花)는 계수나무의 꽃으로 과거에 급제한 사람들이 임금님께 올린 감사의 글을 보면 “외람되옵게도 저 구름 사이의 계수나무 가지를 꺾게 되어, 궁궐에서 이름이 불리게 되고”하는 내용이 있다. 이는 계수나무를 통해 벼슬을 얻었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연관칠순(煙管七旬)[황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담뱃대를 물고 있는 칠순 어르신들.

연광(孑孑)[곽씨세덕가문니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젊은 나이.

연광(年光)[종매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사람이 살아 온 햇수, 곧 나이.

연광(年光)[의향소창가 7 페이지 / 전적]

나이.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