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연광오순(年光五旬)[리행소챙가 3 페이지 / 전적]

나이가 오십에 이름.

연광정[팔역가(八域歌) 9 페이지 / 전적]

평양 대동강변의 덕암 바위 위에 있는 정자, 관서 8경의 하나

연광정(練光亭)[팔도안희가 4 페이지 / 전적]

평양의 대동강(大同江) 가에 있는 누각. 관서 팔경의 하나로 대동강을 내려다볼 수 있는 덕암(德巖)이라는 바위 위에 있다. 조선 중종 때 허굉(許硡)이 건립하였다.

연광정(練光亭)[연행별곡(연별곡) 6 페이지 / 전적]

평양의 덕암 위에 있는 정자(亭子).

연광정(練光亭)[한흥가라 62 페이지 / 전적]

평양의 대동강(大同江) 가에 있는 누각(樓閣).

연광정(練光亭)[한흥가라 62 페이지 / 전적]

평양의 대동강(大同江) 가에 있는 누각(樓閣).

연광정(練光亭)[한흥가라 62 페이지 / 전적]

평양의 대동강(大同江) 가에 있는 누각(樓閣).

연광정(練光亭)[한흥가라 81 페이지 / 전적]

평양 중구역 대동문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정자. 북한의 국보 문화유물 제16호로 지정되었다. 제일누대 · 만화루 등으로도 불렸다.

연광정(練光亭)[한양가라 61 페이지 / 전적]

평양의 대동강(大同江)에 있는 정자로 관서팔경의 하나이다. 대동강을 내려다볼 수 있는 덕암(德巖)이라는 바위 위에 있다.

연광정(練光亭)[옥산가라 4 페이지 / 전적]

평양의 대동강(大同江) 가에 있는 누각. 관서 팔경의 하나로 대동강을 내려다볼 수 있는 덕암(德巖)이라는 바위 위에 있다. 조선 중종 때 허굉(許硡)이 건립함.

연교鷰橋[ 1 페이지 / ]

제비다리.

연구(聯句)[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八)8 52 페이지 / 전적]

樂府 古題要解에 「聯句가 漢武帝의 栢梁宴作에서 처음 起因됐는데 남이 한 句를 지으면 達달아 成文한다. 本은 七言詩인데 成篇한 詩가 七言이 생긴 것이 이에서 비롯이다」라 하였음. 그래서 後世詩人이 聯句軆가 있게 된 것임.

연구를[석천집(石川集二-二)2-2 131 페이지 / 전적]

여러 사람이 한 구절씩 지어서 한 편의 시를 만드는 시형식이다. 한나라 무제 원봉 3년에 백량대를 세우면서 무제가 먼저 ‘일월성신화사시(日月星辰和四時)‘라는 구절을 짓자, 양효왕 이하 25명이 한 구절씩 이어 지었다. 그뒤로 당나라 맹교나 한유 같은 시인들이 연구를 즐겨 지었다.

연구세(年久歲)[환무자탄가 27 페이지 / 전적]

해가 오래 지나면.

연구세심(年久歲深)[명륜가(明倫歌) 39 페이지 / 전적]

세월이 오래됨.

연근칠십(年近七十)[합강정가(合江亭歌) 8 페이지 / 전적]

나이가 칠십에 가까움.

연금(年今)[구쟉가 9 페이지 / 전적]

지금 나이.

연기(年期)[우미인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나이, 연령.

연기(燕器)[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13 페이지 / 전적]

잔치에 쓰는 그릇. 또는 평상시에 쓰는 그릇.

연기(燕器)[지효가(知孝歌) 1 페이지 / 전적]

잔치에 쓰는 그릇. 또는 평상시에 쓰는 그릇.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