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역수지행(逆數之行)[경화가(警和歌) 14 페이지 / 전적]

미래의 운수를 미리 눈치 채는 행동.

역수지행(逆數之行)[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7 페이지 / 전적]

오행의 운행이 순리대로 흐르지 아니하고 거스름.

역신(逆臣)[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3 페이지 / 전적]

임금을 반역한 신하.

역심(易心)[부덕가(婦德歌) 5 페이지 / 전적]

마음을 바꿈.

역심(易心)[경장가(敬長歌) 1 페이지 / 전적]

마음을 바꿈.

역아(易牙)[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68 페이지 / 전적]

「易牙」- 齊人인데 調味를 잘하여 齊桓公에게 寵幸을 입어 寺人이 되었음.

역양(嶧陽)[송강집(松江集三)3 26 페이지 / 전적]

역양(嶧陽)에 있는 오동나무 한 그루를 이름. 書經 禹貢篇에「嶧陽孤桐」

역여(逆旅)[거창가라 5 페이지 / 전적]

나그네를 맞이한다는 뜻으로, 여관(旅館)을 이르는 말.

역여(逆旅)[아림가(娥林歌) 5 페이지 / 전적]

나그네를 맞이한다는 뜻으로, 여관(旅館)을 이르는 말.

역여광음(逆如光陰)[조선충효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시간이 거슬러 올라가는 것 같음.

역자교지(易子敎之)[해몽가라(몽가라) 15 페이지 / 전적]

자식을 서로 바꾸어 가르친다는 뜻.

역적(役籍)[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5 페이지 / 전적]

양민들이 부담하는 역(役)을 담당하는 사람의 명부

역지(易地)[효행가(효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처지를 바꿔어서 생각하다. 역지사지(易地思之).

역지(易地)[효행가(효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처지를 바꿔어서 생각하다. 역지사지(易地思之).

역지사지(易地思之)[농어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입장을 바꾸어 다른 사람의 처지를 생각하여 봄.

역지사지(易地思之)[농어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입장을 바꾸어 다른 사람의 처지를 생각하여 봄.

역진(力盡)[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5 페이지 / 전적]

힘이 다 지침.

역책(易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8 페이지 / 전적]

「易簀」― 簀은 床席임. 曾子가 죽기 즉전에 寢席이 禮에맞지 않음으로 인하여 曾元等에게 명하여 부축해 일으켜 바꾸게 하고서 자리에 돌아와 채 눕기도전에 歿하였음. 禮記檀弓에 보임. 그래서 사람이 운명하는 것을 易簀이라 이름.

역책(易簀)[고봉선생문집 권이(高峰先生文集 券二) 155 페이지 / 전적]

스승의 죽음을 가리키는 말. 책(簀)은 와상(臥床)의 깔자리로, 증자(曾子)가 병환 중에 대부(大夫)의 신분에 걸맞는 화려한 깔자리를 깔고 있었는데, 임종(臨終)할 당시 자신의 신분에 맞지 않음을 알고 제자들로 하여금 깔자리를 바꾸게 하고 죽은데서 유래하였다.《禮記 檀弓上》

역천(逆天)[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25 페이지 / 전적]

천리를 거스리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