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오공대(吳公臺)[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4 페이지 / 전적]
「吳公臺」- 一名은 鷄臺임. 太平寰字記에「江都縣 吳公臺는 縣의 西北에 있는데 劉宗 沈竟之가 竟陸王 誕을 攻擊하면서 쌓은 弩臺이다. 뒤에 陳將 吳明徹이 增築하여 吳公臺라 이름했다」하였음. 唐 武德元年에 江都守 陳稜이 隋煬帝를 江都宮 西쪽 吳公臺에 葬하였으므로 여기는 煬帝를 말한 것임.
오공형(蜈蚣形)[그리져리구경하고 9 페이지 / 전적]
지네.
오공형(蜈蚣形)[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7 페이지 / 전적]
지네 형상.
오공형(蜈蚣形)[호남비결(湖南秘訣) 16 페이지 / 전적]
지네의 모습을 닮은 형상.
오관 대왕(伍官大王)[회심곡 4 페이지 / 두루마리]
시왕(十王)의 하나
오관대왕(五官大王)[일회심곡(一回心曲) 3 페이지 / 전적]
명부(冥府)의 시왕(十王) 중 네번째 왕으로 오관대왕은 명부에서 다섯가지 형벌을 주관하는 대왕으로 죽은 자의 네 번째 칠일간의 일을 관장하는 관리. 세 강 사이에 큰 궁전을 짓고 중생들의 망령된 말의 죄를 다스리는데, 업칭이라는 저울에 사람들의 죄를 달아서 그 경중에 따라 벌을 내림. 오관은 수관, 철관, 화관, 작관, 토관으로서 각각 살인, 도둑질, 사음, 망어, 음주를 금하게 하는 일을 맡아봄.
오관대왕(五官大王)[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4 페이지 / 전적]
사람이 죽은 지 4·7일(28일) 째 되는 날에 심판을 맡은 지옥의 대왕.
오관대왕(五官大王)[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저승에서 죽은 사람을 재판하는 열 명의 대왕 중 네 번째의 왕으로 다섯 가지 형벌을 주관하면서 세 번째 맞이하는 칠일 간의 일을 관장. 세 강 사이에 큰 궁전을 짓고 중생들의 망령된 말의 죄를 다스리는데, 업칭이라는 저울에 사람들의 죄를 달아서 그 경중에 따라 벌을 내림. 오관은 수관, 철관, 화관, 작관, 토관으로서 각각 살인, 도둑질, 사음, 망어, 음주를 금하게 하는 일을 맡아 봄.
오광 대왕[회심곡 5 페이지 / 두루마리]
본 가사에는 불가에서 이르는 시왕(十王)이 나열되어 있으되, 송제 대왕(宋製大王) 만이 누락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오광 대왕’은 이의 오기로 추측된다.
오교체청(吾敎諦聽)[도덕가(道德歌) 2 페이지 / 전적]
나의 가르침을 자세히 들어라.
오구굿[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34 페이지 / 전적]
오귀(惡鬼, 娛鬼)에서 말미암았다는 굿. 즉,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하여 행하는 굿.
오국성[팔역가(八域歌) 6 페이지 / 전적]
운두산성의 이칭
오군(吾君)[신절가(臣節歌) 4 페이지 / 전적]
우리 임금
오군문(五軍門)[팔도안희가 3 페이지 / 전적]
오군영(五軍營)과 같은 말로 조선 시대에 오위(五衛)를 고쳐 둔 다섯 군영. 훈련도감, 총융청, 수어청, 어영청, 금위영을 이른다.
오군문(五軍門)[팔도안희가 21 페이지 / 전적]
오군영(五軍營)과 같은 말로 조선시대 오위(五衛)를 고쳐 둔 다섯 군영. 훈련도감, 총융청, 수어청, 어영청, 금위영을 말한다.
오군문(五軍門)[시절가 7 페이지 / 전적]
조선(朝鮮) 때, 임진왜란(壬辰倭亂) 이후(以後) 오위(五衛)를 고친, 훈련도감(訓鍊都監), 총융청(摠戎廳), 수어청(守禦廳), 어영청(御營廳), 금위영(禁衛營)의 다섯 군영(軍營).
오궁(吾躳)을 여국(如鞠)하시며 기운(氣運)을 병장(屏藏)하사[사군가(事君歌) 5 페이지 / 전적]
몸을 구부리시며 기운을 감추시어.
오금(烏金)[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44 페이지 / 전적]
구리에 약간의 금을 섞은 합금으로 빛이 검붉으며 장식용으로 쓰임.
오금에 빠진 눈이[한흥가라 46 페이지 / 전적]
오금의 높이까지 올 정도로 많이 내린 눈이.
오금에 빠진 눈이[한흥가라 46 페이지 / 전적]
오금의 높이까지 올 정도로 많이 내린 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