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오륜(五倫)[효행가(효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유학에서 사람이 지켜야 할 다섯 가지 도리.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을 이른다.
오륜(五倫)[경영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유학에서, 사람이 지켜야 할 다섯 가지 도리.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을 이름.
오륜(五倫)[한별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부자유친(父子有親),군신유의(君臣有義),부부유별(夫婦有別),장유유서(長幼有序),붕우유신(朋友有信)
오륜(五倫)[허후전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유학에서 말하는 사람이 지켜야할 다섯 가지 도리를 뜻한다.오륜은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을 이른다.
오륜(五倫)[거창가라 27 페이지 / 전적]
유교에서 이르는 다섯 가지의 인륜(人倫)으로 부자(父子) 사이의 친애(親愛), 군신(君臣) 사이의 의리, 부부 사이의 분별, 장유(長幼) 사이의 차서(次序), 붕우(朋友) 사이의 신의를 이른다.이러한 오륜에는 부자유친(父子有親), 군신유의(君臣有義),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이 있다.
오륜(五倫)[백운처사경독가라(운처사경독가라) 2 페이지 / 전적]
유교에서 이르는 다섯 가지의 인륜(人倫)으로 부자(父子) 사이의 친애(親愛), 군신(君臣) 사이의 의리, 부부 사이의 분별, 장유(長幼) 사이의 차서(次序), 붕우(朋友) 사이의 신의를 이른다.이러한 오륜에는 부자유친(父子有親), 군신유의(君臣有義),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이 있다.
오륜(五倫)[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41 페이지 / 전적]
①사람이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떳떳한 도리(道理).곧 부자(父子) 사이의 친애(親愛).군신(君臣) 사이의 의리(義理), 부부(夫婦) 사이의 분별(分別), 장유(長幼) 사이의 차서(次序), 붕우(朋友) 사이의 신의(信義).
오륜(五倫)[두껍전이라(겁젼이라) 1 페이지 / 전적]
①사람이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떳떳한 도리(道理).곧 부자(父子) 사이의 친애(親愛).군신(君臣) 사이의 의리(義理), 부부(夫婦) 사이의 분별(分別), 장유(長幼) 사이의 차서(次序), 붕우(朋友) 사이의 신의(信義).
오륜(五倫)[연행별곡(연별곡) 31 페이지 / 전적]
①사람이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떳떳한 도리(道理).곧 부자(父子) 사이의 친애(親愛).군신(君臣) 사이의 의리(義理), 부부(夫婦) 사이의 분별(分別), 장유(長幼) 사이의 차서(次序), 붕우(朋友) 사이의 신의(信義).
오륜(五倫)[한별곡 4 페이지 / 전적]
①사람이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떳떳한 도리(道理).곧 부자(父子) 사이의 친애(親愛).군신(君臣) 사이의 의리(義理), 부부(夫婦) 사이의 분별(分別), 장유(長幼) 사이의 차서(次序), 붕우(朋友) 사이의 신의(信義)
오륜(五輪)[낙수가 11 페이지 / 전적]
유학에서 사람이 지켜야 할 다섯 가지 도리.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을 이름.
오륜삼강(五倫三綱)[종매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삼강오륜.
오륜삼강(五倫三綱)[백발가(白髮歌) 7 페이지 / 전적]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의 강령과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도리인 삼강오륜을 말함.
오륜삼강(五倫三綱)[경화가(警和歌) 17 페이지 / 전적]
삼강과 오륜. 삼강은 유교 도덕의 기본이 되는 세 가지 도리로서, 임금과 신하, 아버지와 자식, 남편과 아내 사이에 지켜야 할 떳떳한 도리를 말함. 그리고 오륜은 유교에서 이르는 다섯 가지의 인륜으로서, 군신(君臣)사이의 의리, 부자(父子)사이의 친애(親愛), 부부(夫婦)사이의 분별(分別), 장유(長幼)사이의 차서(次序), 붕우(朋友)사이의 신의(信義)를 말함.
오륜삼강(五倫三綱)[경화가(警和歌) 17 페이지 / 전적]
삼강과 오륜. 삼강은 유교 도덕의 기본이 되는 세 가지 도리로서, 임금과 신하, 아버지와 자식, 남편과 아내 사이에 지켜야 할 떳떳한 도리를 말함. 그리고 오륜은 유교에서 이르는 다섯 가지의 인륜으로서, 군신(君臣)사이의 의리, 부자(父子)사이의 친애(親愛), 부부(夫婦)사이의 분별(分別), 장유(長幼)사이의 차서(次序), 붕우(朋友)사이의 신의(信義)를 말함.
오륜이[은삭가 10 페이지 / 전적]
유학에서, 사람이 지켜야 할 다섯 가지 도리. 즉, 군신유의, 부자유친,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을 이름.
오륜이[은삭가 10 페이지 / 전적]
유학에서, 사람이 지켜야 할 다섯 가지 도리. 즉, 군신유의, 부자유친,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을 이름.
오륜행실[로인가 9 페이지 / 전적]
유학에서, 사람이 지켜야 할 다섯 가지 도리와 행실.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을 이름.
오륜행실(五倫行實)[오윤가 7 페이지 / 전적]
오륜을 실천적으로 행동하는 것으로, 오륜은 유학에서, 사람이 지켜야 할 다섯 가지 도리.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을 이름
오르나마[소동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옳으나마. 옳더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