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오등작(五等爵)[거창가라 7 페이지 / 전적]

다섯 등급의 벼슬.즉 공(公), 후(侯), 백(伯), 자(子), 남(男).

오등작(五等爵)[아림가(娥林歌) 7 페이지 / 전적]

다섯 등급의 벼슬. 즉 공(公), 후(侯), 백(伯), 자(子), 남(男).

오디[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65 페이지 / 전적]

「葚熟無近桑」―葚은 桑實로 즉 오디임. 詩經 衛風 氓에 「于嗟鳩兮, 無食桑葚. 于嗟女兮, 無與士耽」 이라 했는데 註에「鳩가 葚을 많이 먹으면 醉하여 본성을 잃게 된다」 하였음. 이는 詩人이 女子에게 男子를 탐내지 말라고 경계하여 지은 것임.

오라[회심곡 5 페이지 / 두루마리]

죄인을 묶는 붉고 굵은 줄. 오랏줄.

오라반[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4 페이지 / 전적]

‘오라버니’의 방언.

오락[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43 페이지 / 전적]

「憧憧」-왕래하는 형용을 말함. 易咸의 九四에「憧憧往來 朋從爾思」라 하였음.

오랍동생[오윤가 23 페이지 / 전적]

오라비의 방언.

오랑[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5 페이지 / 전적]

‘뱃대끈’을 말하며 여자의 치마나 바지허리 위에 매는 끈.

오랑캐[춘화추동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일본이 우리나라를 강탈한 것

오래[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22 페이지 / 전적]

「久視長存」―人間이 永久히 生存하는 것을 말함。荀子 榮辱篇에 『是庶人之所以取煖衣飽食 長生久視 以免於刑戮也』라 하였음。

오련[셩경가 8 페이지 / 전적]

형태가 조금 나타나 보일 정도로 희미함.

오련[셩경가 8 페이지 / 전적]

형태가 조금 나타나 보일 정도로 희미함.

오렵(五鬣)[석천집(石川集二-五)2-5 119 페이지 / 전적]

다섯 이파리가 달린 잣나무.

오례의(五禮儀)[송강집(松江集三)3 113 페이지 / 전적]

길례(吉禮) 흉례(凶禮) 빈례(賓禮) 군례(軍禮) 가례(嘉禮)등 다섯가지의 예(禮)를 기록한 책.

오례의(五禮儀)[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3 페이지 / 전적]

국제오례의, 조선시대에 세종의 명으로 허주(許稠) 등이 편찬에 착수하고, 세조 때 강희맹 등을 거쳐 신숙주, 정척 등이 완성한 예서. 길례(吉禮), 가례(嘉禮), 빈례(賓禮), 군례(軍禮), 흉례(凶禮)의 오례 가운데 실행하여야 할 것을 뽑아 도식(圖式)으로 엮었다. 성종 5년(1474)에 간행되었다. 8권 8책.

오로봉(五老峯)[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8 페이지 / 전적]

「五老」―峯名임. 李白詩에「廬山東南五老峯 靑天削出芙蓉」의句가 있음.

오로봉(五老峰)[석천집(石川集二-三)2-3 10 페이지 / 전적]

중국 여산(廬山) 남쪽의 높은 봉우리. 봉우리의 형세가 우뚝하고 그 모양이 다섯 노인이 어깨를 나란히 하고 서 있는 것 같아 생긴 이름이다.

오로봉(五老峰)[헌수가라 16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여산(驪山) 남쪽 기슭에 있는 고봉(高峰).

오로봉(五老峰)[유경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여산(驪山) 남쪽 기슭에 있는 고봉(高峰).

오로봉(五老峰)[헌수가라 16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여산(驪山) 남쪽 기슭에 있는 고봉(高峰).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