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오금에 빠진 눈이[한흥가라 46 페이지 / 전적]

오금의 높이까지 올 정도로 많이 내린 눈이.

오기(五氣)[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68 페이지 / 전적]

「五氣」- 雨, 暘, 燠, 寒, 風을 이를.書經 洪範註에 보임.

오기(五氣)[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11 페이지 / 전적]

「五氣」- 金, 木, 水, 火, 土의 五氣를 말한 것임.

오기(吳起)[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65 페이지 / 전적]

「吳起」- 衛人으로 用兵을 좋아하고 일찌기 曾子에게 배웠었다.起는 出世할 생각이 들어 老母를 버리고 衛를 떠났는데母가 죽어도 돌아오지 아니하니 曾子는 박히 여겨 師弟의 誼를 끊어버렸다.

오기(吳起)[한흥가라 93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병법가. 손무와 병칭되는 병법가로 《오자》라는 병법서를 남겼다. 오자(吳子)로 통칭된다. 위(衛)나라 사람이며, 증자(曾子)에게 배우고 노군(魯君)을 섬겼다. 제(齊)나라가 노나라를 침공하였을 때 노나라는 그를 장군으로 삼으려고 하였다. 그는 제나라 여자를 아내로 삼고 있었으므로 의심을 받는다고 아내를 죽여 충성을 나타낸 뒤, 노나라 장군으로서 제나라 군대를 격파하였다.

오기(吳起)[한양가라 79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시대의 병법가. 증자(曾子)에게 배우고 노(魯)나라, 위(魏)나라에서 벼슬한 뒤에 초(楚)나라에 가서 도왕(悼王)의 재상이 되어 법치개혁을 추진하였다.

오기(吳起)[한양가라 92 페이지 / 전적]

노(魯)나라 장군으로 천거될 때, 그의 아내가 제나라 사람이란 것이 문제되자 아내를 죽이고 장수가 된 인물이다. 여기서 살처구장(殺妻求將)이라는 성어가 유래하였다. 이 말은 명리(名利)나 권세를 얻기 위해서는 반인륜적인도 서슴치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

오기(吳起)[고분가 25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병법가로 위(衛)나라 사람이며, 증자(曾子)에게 배우고 노군(魯君)을 섬겼다.제(齊)나라가 노나라를 침공하였을 때 노나라는 그를 장군으로 삼으려고 하였다.그는 제나라 여자를 아내로 삼고 있었으므로 의심을 받는다고 아내를 죽여 충성을 나타낸 뒤, 노나라 장군으로서 제나라 군대를 격파하였다.

오기(吳起)[고분가 25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병법가로 위(衛)나라 사람이며, 증자(曾子)에게 배우고 노군(魯君)을 섬겼다.제(齊)나라가 노나라를 침공하였을 때 노나라는 그를 장군으로 삼으려고 하였다.그는 제나라 여자를 아내로 삼고 있었으므로 의심을 받는다고 아내를 죽여 충성을 나타낸 뒤, 노나라 장군으로서 제나라 군대를 격파하였다.

오기(吳起)[거창가라 14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 시대(戰國時代)의 병법가(?B.C.440~B.C.381).증자(曾子)에게 배우고 노(魯)나라, 위(魏)나라에서 벼슬한 뒤에 초(楚)나라에 가서 도왕(悼王)의 재상이 되어 법치적 개혁을 추진하였다.저서에 병법서

오기(吳起)[아림가(娥林歌) 15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 시대(戰國時代)의 병법가(?B.C.440~B.C.381). 증자(曾子)에게 배우고 노(魯)나라, 위(魏)나라에서 벼슬한 뒤에 초(楚)나라에 가서 도왕(悼王)의 재상이 되어 법치적 개혁을 추진하였다. 저서에 병법서 '오자(吳子)'가 있다.

오기(吳起)[녁대가(녁가) 38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의 병법가(?B.C.440~B.C.381). 증자(曾子)에게 배우고 노(魯)나라, 위(魏)나라에서 벼슬한 뒤에 초(楚)나라에 가서 도왕(悼王)의 재상이 되어 법치적 개혁을 추진하였음. 저서에 병법서 『오자(吳子)』가 있음.

오기서(五車書)[송강집(松江集二)2 188 페이지 / 전적]

다섯 수레에 가득 실은만큼 많은 장서(藏書). 莊子 天下篇에「惠施多方其 書五車」

오기호(吳基鎬)[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62 페이지 / 전적]

독립운동가(1863~?). 호는 손암(巽庵). 1905년에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 천황 및 이토 히로부미 등에게 통감 정치의 무단적(武斷的) 학정을 호소하는 서안을 보내고,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을사오적(乙巳五賊)을 처단하기 위하여 자신회(自新會)를 조직하였다.

오난손인[용문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오는 손은. 오는 손님은.

오난잠 놀여[역대가라(역가라) 11 페이지 / 전적]

오는 잠을 놀래게 하여 깨어.

오난잠 놀여[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2 페이지 / 전적]

오는 잠을 놀래게 하여 깨어.

오뉴월(五六月)[여자행신가 8 페이지 / 전적]

오월과 유월. 또는 오월이나 유월. 음력 오월과 유월이라는 뜻으로, 여름 한철을 이르는 말.

오뉴월(五六月)[여자행신가 8 페이지 / 전적]

오월과 유월. 또는 오월이나 유월. 음력 오월과 유월이라는 뜻으로, 여름 한철을 이르는 말.

오뉵(汚衄)[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9 페이지 / 전적]

더러운 코피. 모욕을 뜻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