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능통(能通)[한양가라 68 페이지 / 전적]

사물의 이치에 훤히 통달하다.

능통(能通)[남은곡 권지단이라 12 페이지 / 전적]

아주 잘함.

능파(陵波)[제주여행가 21 페이지 / 두루마리]

파도를 헤침.파도 위를 건넘.

능효(能孝)하며 능양(能養)하며[대효가(大孝歌) 5 페이지 / 전적]

능히 효를 행하며 능히 봉양하며.

능효(能孝)하며 능양(能養)하며[사군가(事君歌) 1 페이지 / 전적]

능히 효를 행하며 능히 봉양하며.

늦벼[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5 페이지 / 전적]

제철보다 늦게 여무는 벼.

늪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6 페이지 / 전적]

「澤畔製芰」― 楚 屈原이 참소를 입어 放遂되자 行吟澤畔하며芰荷로 製衣하였다는 辭가 있음. 여기는 임금이 어질어서 참소 입는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쓴것임

늪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7 페이지 / 전적]

「澤畔製芰」― 楚 屈原이 참소를 입어 放遂되자 行吟澤畔하며芰荷로 製衣하였다는 辭가 있음. 여기는 임금이 어질어서 참소 입는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쓴것임

늬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0 페이지 / 전적]

「爾汝忘形」―朋友間에 서로 마음으로써 사귀며 形迹을 脫畧하는 것을 말함. 杜甫醉詩歌에 「忘形到爾汝 痛斂眞吾師」라는 句가 있고, 또 唐書孟郊傳에 「郊少隱嵩山 性介 少諧合 惟韓愈一見 爲忘形交」라 했음.

늬를 무려볼고[형제붕우소회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누구를 대해 물어볼고. 누구에게 물어볼까.

늬와합기 소희면[형제붕우소회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뉘와 함께 소희(笑戱)하면. 누구와 함께 웃고 놀면.

늬을만나 퓨르볼가[형제붕우소회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뉘를 만나 풀어볼까.

늬을 원설[형제붕우소회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누구를 대해 원설(怨說)할까. 누구를 원망할까.

늬마암[상사곡이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너희들의 마음.

니거든 여러두고[ 1 페이지 / ]

이르거든 열어 두고.

니것제 어[형제붕우소회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이곳이 어디인데.

니곳서 고[형제붕우소회가라 12 페이지 / 두루마리]

이곳에서 성장(成長)할까.

니구산(尼丘山)[춘몽가(츈몽가) 26 페이지 / 전적]

중국 쓰촨성[四川省]에 있는 산.

니구산(尼丘山)[녁대가(녁가) 29 페이지 / 전적]

노나라 양공 이십년에 안징재(顔徵在)가 니구산에서 기도를 올려 그 다음해에 공자를 낳았다고 함. 공자가 태어나자 그 머리의 한가운데가 움푹 패이고 주위가 높은 것이 마치 니구산의 모양과 비슷하였으므로 이름을 구(丘), 자는 중니(仲尼)라고 지었음.

니구산(尼丘山)[춘몽가(츈몽가) 26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어머니가 이 산에 빌어 공자를 낳았다고 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