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다언(夛言)[거취가(去取歌) 5 페이지 / 전적]

말이 많음.

다옥[시절가 20 페이지 / 전적]

초목 따위가 자라서 우거져 있음.

다요(多夭)[근혼가(謹婚歌) 3 페이지 / 전적]

단명하는 사람이 많음.

다우수(多憂愁)[평지행룡(平地行龍) 1 페이지 / 전적]

근심이 많을 수.

다우수(多憂愁)[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 페이지 / 전적]

근심이 많을 수.

다울대[직금가라 11 페이지 / 전적]

베의 날실을 풀기 위하여 도투마리를 밀어서 넘기는 막대기.

다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46 페이지 / 전적]

「貳」-副의 뜻임. 書經 周官에「貳公弘化」란 말이 있는데 三公에게 副貳함을 이른 것이다.

다인나니[셕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다 잊나니.

다자손(多子孫)[자책가(가) 10 페이지 / 전적]

자손이 많음.

다잔터니[소상팔경가 20 페이지 / 전적]

시원치 않더니'의 뜻인 듯.

다제하면[백발가(白髮歌) 10 페이지 / 전적]

다 빼고나면.

다족(多族)[무제(양신택졍하여) 7 페이지 / 전적]

친족이 많음.

다종반(茶鐘盤)[회혼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다종(茶鐘)이란 차를 따라 마시던 그릇을 뜻하는바, 다종반은 다종을 담은 찻상을 말한다.

다주고씨[녁대가(녁가) 55 페이지 / 전적]

수문제(隋文帝)의 부인이었던 ‘독고왕후’를 가리키는 듯함. 독고왕후는 수양제에게 있어 유능하고 헌신적인 정치적 조언자였으나 질투가 매우 심하였다고 함.

다지[잣치가라(치라) 7 페이지 / 전적]

땅을 다듬음.

다진하고[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0 페이지 / 전적]

다끝내고.

다출문사(多出文士)[유소가 5 페이지 / 전적]

문인들이 많이 나왔음.

다풀다풀[셔유곡 12 페이지 / 전적]

다보록한 물건 따위가 조금 길게 늘어져 자꾸 바람에 흔들리는 모양.

다행(多幸)[대비훈민가 18 페이지 / 전적]

①운수(運數)가 좋음 ②일이 좋게 됨 ③뜻밖에 잘 됨.

[활노래 1 페이지 / 두루마리]

닥나무.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