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닙디고 가지것근후[ 1 페이지 / ]

잎이 떨어지고 가지 꺾인 뒤에는.

닛집[ 1 페이지 / ]

잇집. 치조齒槽. 이촉이 박혀 있는 턱뼈의 함입부. 생리적으로는 이 뿌리를 둘러싸고 있는 연한 근육을 잇몸(치육齒肉 또는 치은齒齦)이라 하여 잇집과 구별되어 있으나, 일상의 관용어에서는 흔히 잇집이나 잇몸을 통칭하여 잇몸이라 하기 때문에 이시에서도 ‘닛집‘은 잇몸을 가리킨 시어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다 났구나[비틀노래 1 페이지 / 두루마리]

다 지었구나.

다 좌전(坐奠)한 연후(然後)에 궤좌(跪坐)하여 취지(取之)하고[분별가(分別歌) 5 페이지 / 전적]

곧 다 앉아서 정중히 주고받은 연후에 꿇어 앉아 그것을 취하고.

다 좌전(坐奠)한 연후(然後)에 궤좌(跪坐)하여 취지(取之)하고[거취가(去取歌) 1 페이지 / 전적]

곧 다 앉아서 정중히 주고받은 연후에 꿇어 앉아 그것을 취하고.

다 진(盡)토록[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18 페이지 / 전적]

다하도록.

다 진(盡)하고[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1 페이지 / 전적]

다 끝나고.

다 진(盡)하고[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1 페이지 / 전적]

다 끝나고.

다경다경(多慶多慶)[길자가(吉字歌) 3 페이지 / 전적]

경사스러움이 많다.

다경다경(多慶多慶)[정도선림하정씨가(正道仙林下鄭氏歌) 1 페이지 / 전적]

경사스러움이 많다.

다과주찬(茶菓酒饌)[의향소창가 13 페이지 / 전적]

다과와 술과 안주.

다과주찬(茶菓酒饌)[리행소챙가 7 페이지 / 전적]

다과와 술과 안주.

다구지다[회초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다부지다’의 경상도 방언. 벅찬 일을 견디어 낼 만큼 굳세고 야무짐.

다기봉(多起峰)[낙향이별가 6 페이지 / 전적]

많은 봉우리에 일어나다.

다남다여(多男多女)[반심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모든 남녀.

다남자(多男子)[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3 페이지 / 전적]

남자아이를 많이 낳기를.

다남자(多男子)[장씨부인역사라 4 페이지 / 전적]

사내 자식을 많이 낳음.

다남자(多男子)[장씨부인역사라 4 페이지 / 전적]

사내 자식을 많이 낳음.

다남자(多男子)[칠여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다남(多男). 아들이 많음.

다눅디니[ 1 페이지 / ]

다 누긋해지니, 다 누그러지니.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