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다늙키는고[백발가(白髮歌) 1 페이지 / 전적]
모두 늙게 하는가.
다늙키는고[백발가(白髮歌) 3 페이지 / 전적]
모두 늙게 하는가.
다다길(多多吉)[길자가(吉字歌) 3 페이지 / 전적]
길(吉)함이 매우 많다.
다다길(多多吉)[정도선림하정씨가(正道仙林下鄭氏歌) 1 페이지 / 전적]
길(吉)함이 매우 많다.
다다른지 삼일 만에 삼월이라 십일 날e[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한 번 태어나고 한 번 죽는 일.
다다셔[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4 페이지 / 전적]
닫아서. 다달아서.
다다치니[여자석별가 3 페이지 / 전적]
다갔으니.
다담상(茶啖床)[합강정가(合江亭歌) 5 페이지 / 전적]
손님을 대접하기 위하여 내놓은 다과(茶菓) 따위를 차린 상.
다담상과[정종대왕권학가(正宗大王勸學歌) 10 페이지 / 전적]
다담상(茶啖床)과. ‘차담상’이라고도 함. 손님을 대접하기 위하여 차려 놓은 음식상.
다독다독[회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흩어지기 쉬운 물건을 모아 잇따라 가볍게 두드려 누르는 모양.
다독다독[회초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남의 약한 점을 따뜻이 어루만져 감싸고 달래는 모양.
다독심화(多讀心和)[정도선림하정씨가(正道仙林下鄭氏歌) 3 페이지 / 전적]
다독하여 마음이 온화해지다.
다디게야[ 1 페이지 / ]
다 떨어져서야. ‘디다‘는 떨어지다의 뜻이다.
다디치고[셕별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다 졎히고. 다 버리고.
다락원(多樂院)[팔도가 4 페이지 / 전적]
경기도 의정부시에 있는 역참 이름.
다락원(多樂院)[팔도가 4 페이지 / 전적]
경기도 의정부시에 있는 역참 이름.
다락원(多樂院)[북쳔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경기도(의정부)에 있었던 역참.
다람읍서[형제붕우소회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다름이 없어.
다람쥐 한 마리는[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88 페이지 / 전적]
「飛生」-鼪鼯의 異稱인데 다람쥐를 말함。文選 左思 吳都賊에「驀六駮 追飛生」이라 했고 그 註에」飛生은 鼯이다」라 했음。
다래끼[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1 페이지 / 전적]
아가리가 좁고 바닥이 넓은 작은 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