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달지유혈(撻之流血)[오륜가라 10 페이지 / 전적]
매로 때려 피를 흘림.
달초(撻楚)[효자가 5 페이지 / 전적]
회포리로 볼기나 종아리를 때리는 일.
달초(撻楚)[효행록이라(효록이라) 12 페이지 / 전적]
어버이나 스승이 자식이나 제자의 잘못을 징계하기 위하여 회초리로 볼기나 종아리를 때리는 것을 말함.
달초(撻楚)[조심가라 19 페이지 / 전적]
어버이나 스승이 자식이나 제자의 잘못을 징계하기 위하여 회초리로 볼기나 종아리를 때림.
달초(撻楚)[조심가라 19 페이지 / 전적]
어버이나 스승이 자식이나 제자의 잘못을 징계하기 위하여 회초리로 볼기나 종아리를 때림.
달팔십(達八十)[자치가라 13 페이지 / 두루마리]
호화롭게 사는 삶을 이르는 말. 강태공이 여든 살에 주(周)나라 무왕을 만나 정승이 된 후 80년을 호화롭게 살았다는 데서 유래함.
달팔십(達八十)[소상팔경가 13 페이지 / 전적]
호화롭게 사는 삶을 이르는 말.강태공이 여든 살에 주(周)나라 무왕을 만나 정승이 된 후 80년을 호화롭게 살았다는 데서 유래함.
달팔십(達八十)[자치가 14 페이지 / 전적]
호화롭게 사는 삶을 이르는 말.강태공이 여든 살에 주(周)나라 무왕을 만나 정승이 된 후 80년을 호화롭게 살았다는 데서 유래함.
달팔십을[용문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달팔십(達八十)을. 팔십이 되기를.
달포[의향소창가 30 페이지 / 전적]
한 달 이상이 되는 동안.
달포[상사별곡(상별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한 달이 조금 넘는 기간.
달포[리행소챙가 18 페이지 / 전적]
한 달 이상이 되는 동안.
달포[상사별곡(상별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한 달이 조금 넘는 기간.
달효도(達孝道)[효성가라 2 페이지 / 전적]
한결같고 변함이 없어 만인이 효행이라 인정할 만한 효도. 주(周) 무왕(武王)은 선왕인 문왕(文王)이 병이 나자 관대를 풀지 않고 곁에서 봉양했으며, 문왕이 먹는 횟수와 양만큼 따라서 똑같이 먹는 등 효성이 극진했다고 함.
닭[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62 페이지 / 전적]
「雞犬放」―孟子 告子篇에「人有雞犬放 則知求之 有放心 而不知求」라는 대문 있음
닭[면앙집(俛仰集 一)1 175 페이지 / 전적]
割雞 : 論語子遊爲武城宰 孔子聞絃歌之聲 莞爾而笑日割雞焉用牛刀
닭 갈비는……웃노라[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41 페이지 / 전적]
닭 갈비는 능력이 없음을 말하고 옹산 (甕算)은 망령된 계산을 말함. 옛날 가난한 옹기 장사가 옹기 속에서 자며 꿈속에 부자가 되어 기뻐하다 옹기가 깨졌다는 고사가 있다.
닭을……번거롭히지만[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89 페이지 / 전적]
닭을 벤다고 함은 작은 일에 큰 인재를 썼다는 뜻.《論語 陽貨》에 공자가 무성에 이르러 글 읽고 거문고 타는 소리를 듣고 이르기를 ‘닭을 잡는 데 어찌 소 잡는 칼을 쓰리오.‘ 하였음. 유인(游刃)은 칼날을 자유자재로 놀리는 것.《莊子 養生主》에 ‘백정이 문혜군을 위해 소를 잡으니 문혜군이 잘한다고 감탄하였다. 이에 백정이 말하기를 ‘저 마디에는 틈새가 있고 칼날은 두께가 없으니 없는 것으로 있는 것에 들어가면 넓고 넓어서 칼날을 놀릴〔游刃〕수가 있다.
담 나무[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86 페이지 / 전적]
「樹穴」-晋 羊祜의 故事로서 前生에 잃어버린 金環을 鄰人의李氏家의 頹垣에서 찾아냈다는 말인데 見上.
담금[한양가라 30 페이지 / 전적]
불로 지지는 형벌인 담금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