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당당(黨黨)[대호지로가(호지로가) 6 페이지 / 전적]
무리.
당당(黨黨)[대호지로가(호지로가) 6 페이지 / 전적]
무리.
당당(黨黨)[대호지로가(호지로가) 6 페이지 / 전적]
무리.
당당명사[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9 페이지 / 전적]
과거에 급제 한 선비.
당당명사(堂堂名士)[대동가(동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남 앞에서 내세울 만큼 떳떳한 모습이나 태도로 이름난 선비.
당당정리(堂堂正理)[권학가 4 페이지 / 전적]
당당하게 바른 이치.
당당정리(當當正理)[경세가(警世歌) 4 페이지 / 전적]
마땅히 바른 이치.
당당정리(當當正理)[원시가(源時歌) 2 페이지 / 전적]
마땅히 바른 이치.
당돌(唐突)[한양가라 20 페이지 / 전적]
윗사람에게 대하는 것이 버릇이 없고 주제넘다.
당두(當頭)[군산월애원가(군월원가) 10 페이지 / 전적]
기일이나 시기가 가까이 닥쳐옴.박두(迫頭)와 같은 말.
당두(當頭)[봉별가 42 페이지 / 전적]
기일이나 시기가 가까이 닥쳐옴.
당랑거철(螳螂拒轍)[자탄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제 역량을 생각하지 않고, 강한 상대나 되지 않을 일에 덤벼드는 무모한 행동거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제나라 장공(莊公)이 사냥을 나가는데 사마귀가 앞발을 들고 수레바퀴를 멈추려 했다는 데서 유래함.
당랑거철(螳螂拒轍)[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7 페이지 / 전적]
제 역량을 생각하지 않고, 강한 상대나 되지 않을 일에 덤벼드는 무모한 행동거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제나라 장공(莊公)이 사냥을 나가는데 사마귀가 앞발을 들고 수레바퀴를 멈추려 했다는 데서 유래함.
당록(堂錄)[권학가 5 페이지 / 전적]
도당록(都堂錄)’의 준말. 조선시대에 홍문관(弘文館)의 교리(校理),수찬(修撰) 등을 임명하기 위한 2차 선거 기록. 의정부에서 작성하였던 문서임. 가사의 원문에서 ‘堂祿’이라 한 표기는 ‘堂錄’으로 수정되어야 할 것임.
당록(堂錄)[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1 페이지 / 전적]
홍문관에서 교리(校理) 이하의 벼슬아치를 임명할 때의 기록.
당명왕[몽유가(몽류가) 9 페이지 / 전적]
당명황(唐明皇)임. 중국 당나라 현종 황제를 가리킴. 양귀비를 맞아 지내다가 안록산의 난이 일어나자 피난하던 중, 마외역(馬嵬驛)에서 관군에게 책망 당하여 양귀비를 잃었던 고사의 주인공임.
당명왕[몽유가(몽류가) 9 페이지 / 전적]
당명황(唐明皇)임. 중국 당나라 현종 황제를 가리킴. 양귀비를 맞아 지내다가 안록산의 난이 일어나자 피난하던 중, 마외역(馬嵬驛)에서 관군에게 책망 당하여 양귀비를 잃었던 고사의 주인공임.
당명왕(唐明王)[쟝한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당나라 제6대 황제인 현종(玄宗)을 말한다.
당명황(唐明皇)[역대가라(역가라) 9 페이지 / 전적]
당현종(唐玄宗). 처음에는 조숭(兆崇), 송경(宋璟) 등을 등용하여 천하를 잘 다스렸으나, 나중에 양태진(楊太眞)에 총애하여, 양국충(楊國忠) 같은 사람을 임용하면서 나라가 어지럽게 되었다.
당명황(唐明皇)[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5 페이지 / 전적]
당나라 현종(玄宗)을 말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