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단정(丹旌)[초당춘수곡 10 페이지 / 전적]
붉은 기, 죽은 사람의 품계· 관직 · 성씨 등을 적은 깃발.
단정(丹精)[초씨션원쳥음가 13 페이지 / 전적]
붉은 마음이라는 뜻으로 마음속으로부터 진심으로 우러나오는 뜨거운 정성을 이르는 말.
단정(斷定)[녁대가(녁가) 66 페이지 / 전적]
딱 잘라서 판단하고 결정함.
단정(斷定)[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0 페이지 / 전적]
딱 잘라 판단하고 결정함.
단정(端正)[북쳔가 25 페이지 / 두루마리]
옷차림새나 몸가짐 따위가 얌전하고 바르다.
단조소작(丹竈所作)[몽즁운동가 3 페이지 / 전적]
선약(仙藥)을 만드는 일. 예전에, 중국에서 도사(道士)가 영약(靈藥)을 만들기 위하여 단사(丹沙)를 고았다는 부뚜막에서 유래함.
단종(端宗)[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2 페이지 / 전적]
조선 제6대 왕(1441~1457)으로 12세에 왕위에 올랐으나, 숙부인 수양 대군에게 왕위를 빼앗겨 강원도 영월에 유배되었다가 죽임을 당함. 사후 241년 뒤인 숙종 24년(1698)에 왕위를 추복(追復)하여 묘호를 단종이라고 하였음.
단종(端宗)[한흥가라 24 페이지 / 전적]
조선 제6대 왕(1441~1457). 12세에 왕위에 올랐으나, 숙부인 수양 대군에게 왕위를 빼앗겨 강원도 영월에 유배되었다가 죽임을 당하였다. 죽은 지 241년 뒤인 숙종 24년(1698)에 왕위를 추복(追復)하여 묘호를 단종이라고 하였다. 재위 기간은 1452~1455년이다.
단종(端宗)[한흥가라 24 페이지 / 전적]
조선 제6대 왕(1441~1457). 12세에 왕위에 올랐으나, 숙부인 수양 대군에게 왕위를 빼앗겨 강원도 영월에 유배되었다가 죽임을 당하였다. 죽은 지 241년 뒤인 숙종 24년(1698)에 왕위를 추복(追復)하여 묘호를 단종이라고 하였다. 재위 기간은 1452~1455년이다.
단종(端宗)[한흥가라 24 페이지 / 전적]
조선 제6대 왕(1441~1457). 12세에 왕위에 올랐으나, 숙부인 수양 대군에게 왕위를 빼앗겨 강원도 영월에 유배되었다가 죽임을 당하였다. 죽은 지 241년 뒤인 숙종 24년(1698)에 왕위를 추복(追復)하여 묘호를 단종이라고 하였다. 재위 기간은 1452~1455년이다.
단종(端宗)[축원하온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제6대 왕. 12세에 왕위에 올랐으나 숙부인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강원도 영월에 유배되었다가 죽임을 당함.
단종(端宗)[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5 페이지 / 전적]
조선 제6대 왕(1441~1457)으로 12세에 왕위에 올랐으나, 숙부인 수양 대군에게 왕위를 빼앗겨 강원도 영월에 유배되었다가 죽임을 당하였다. 죽은 지 241년 뒤인 숙종 24년(1698)에 왕위를 추복(追復)하여 묘호를 단종이라고 하였다. 재위 기간은 1452~1455년이다.
단종대왕[화전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조 6대 임금. 숙부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찬탈당하고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봉되어 영월로 추방되었다가 죽음을 당하였음. 200년 후 숙종 때 왕위가 추복되어 단종(端宗)이라 하였음.
단종대왕(端宗大王, 1441-1457)[팔도안희가 6 페이지 / 전적]
선의 제6대 왕으로 문종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현덕왕후(顯德王后) 권씨(權氏)이다. 비는 정순왕후(定順王后) 송씨(宋氏)이다. 1456년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이개, 유응부, 유성원 등이 단종 복위를 도모하다 모두 처형된 뒤, 1457년 상왕에서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봉되어 강원도 영월로 유배되었다.
단종사기(端宗史記)[한양가라 47 페이지 / 전적]
단종실록(端宗實錄)을 말함.
단주(丹朱)[녁대가(녁가) 12 페이지 / 전적]
요임금의 아들.
단주(丹朱)[녁대가(녁가) 13 페이지 / 전적]
요임금의 아들.
단지(丹墀)[송강집(松江集三)3 29 페이지 / 전적]
붉은 칠로 장식한 대궐. 漢書 百官志에「以丹朱漆地謂之丹墀」
단지(斷指)[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4 페이지 / 두루마리]
손가락을 자름.
단지(斷指)[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4 페이지 / 두루마리]
손가락을 자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