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닷쳐와셔[용문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다 치어 와서. 다 갖추어 와서.
닷고을[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1 페이지 / 전적]
다섯 고을.
당(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76 페이지 / 전적]
「韓愈」- 唐나라 鄧州 南陽人이요, 字는 退之인데 古文家로 唐宋八家의 首임.그의 所著인 原道, 原性, 師說等의 篇은 奧衍宏深하여 孟子 楊雄과 서로 表裏한다 하였음.
당(唐)[석천집(石川集二-四)2-4 101 페이지 / 전적]
<<莊子>> <逍遙遊>에 등장하는여기서의 唐은 中國 古代 帝堯가 다스리던 나라의 이름. 흔히 堯唐이라하여 뒷날 李淵이 세운 唐 즉 李唐과 구별함. 인물.
당(唐)나라[역대삼재가라 9 페이지 / 전적]
수(隋)나라에 이은 중국의 왕조. 618년 이연(李淵)이 건국하여 907년 애제(哀帝) 때 후량(後梁) 주전충(朱全忠)에게 멸망하기까지 290년간 20대의 황제에 의하여 통치되었다.
당(堂)[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32 페이지 / 전적]
「若堂封」― 墓의 封土의 형상을 말한 것임. 禮記 檀弓에 「吾見封之若堂者矣 見若坊者矣 見若覆夏屋者矣 見若斧者矣 從若斧者矣 馬鬣封之謂也」라는 대문이 있음.
당(堂)[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80 페이지 / 전적]
「堂從季路升」-論語 先進篇에 「由也升堂未入室」이란 대문 있음。季路는 곧 子路임。
당, 우(唐 虞)[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9 페이지 / 전적]
「唐虞」- 唐은 堯의 國名이요 虞는 舜의 國名이므로 堯舜의 別稱이 되었음.
당고(黨錮)[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3 페이지 / 전적]
「黨錮」- 東漢 桓帝의 初에 尙書 周福과 阿南尹 房植이 각기朋徒를 심어 차츰 尤隙을 이루자 이로 말미암아 部黨의 議가있었으니, 이것이 東漢에 黨禍가 있은 시초였다. 그후 宦官이擅權하자 陳蕃, 李膺等이 宦官과 더불어 交惡하자. 太學生 郭泰 , 賈偉節 等이 李膺 陳蕃等과 더불어 瓦相褒重하였다. 이즈음에 李膺이 河南尹이 되어 事로써 方士 張成을 案殺하니 張成은 본시 宦官과 서로 통하는 처지라, 成의 弟子 牢修가 이내 上書하여 誣告하기를「李膺 등이 太學의 遊士
당고종[팔역가(八域歌) 14 페이지 / 전적]
당나라 3대왕
당구풍월(堂狗風月)[무제(▩▩▩▩) 2 페이지 / 두루마리]
서당에서 기르는 개가 계속하여 글 읽는 소리를 들으면 풍월을 읊는다는 뜻으로, 그 분야에 대하여 경험과 지식이 전혀 없는 사람이라도 오래 있으면 얼마간의 경험과 지식을 가짐을 이르는 말.
당구풍월(堂狗風月)[무제(▩▩▩▩) 2 페이지 / 두루마리]
서당에서 기르는 개가 계속하여 글 읽는 소리를 들으면 풍월을 읊는다는 뜻으로, 그 분야에 대하여 경험과 지식이 전혀 없는 사람이라도 오래 있으면 얼마간의 경험과 지식을 가짐을 이르는 말.
당국(當局)이 평포(平鋪)[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17 페이지 / 전적]
묘 쓸 자리만은 평평함.
당귀(當歸) 천궁(川芎)[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7 페이지 / 전적]
승검초 뿌리. 미나릿과의 여러해살이풀. 또는, 천궁·궁궁이의 뿌리.
당내(堂內)[육십회갑가사 2 페이지 / 두루마리]
8촌 이내의 친족.
당년(當年)[여자행신가 15 페이지 / 전적]
일이 있는 바로 그 해. 올해.
당년(當年)[여자행신가 15 페이지 / 전적]
일이 있는 바로 그 해. 올해.
당년(當年)[동국조선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올 해.
당노당권(當路當權)[명륜가(明倫歌) 50 페이지 / 전적]
정권을 잡음.
당당(黨黨)[대호지로가(호지로가) 6 페이지 / 전적]
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