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담화(談話)[자탄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서로 이야기를 주고받음.
담화(談話)[벽천가 63 페이지 / 전적]
말을 주고 받음.
담화曇花[ 1 페이지 / ]
담화曇華와 같음. 삼천년만에 한번 핀다는 상상의 꽃. 매우희귀한 꽃. 불가의 상서화.
담거[용문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담배 거행(擧行). 담배 피는 것을 도와 줌.
담엿고[앤여가(여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담을 쌓았고.
답[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48 페이지 / 전적]
「欎屈」-마음이 舒暢하지 않음을 말함. 欎結과 같음. 韓愈의 初南食詩에「開籠聽其去 欎屈尙不平」의 句가 있음.
답교(踏橋)놀이[관등가(觀燈歌) 2 페이지 / 전적]
다리 밟기. 그 해의 재액을 물리친다 하여 정월 보름날 밤에 다리를 밟던 일.
답봉장(答封狀)[벽천가 12 페이지 / 전적]
겉봉을 봉한 답장편지.
답산(踏山)[장씨부인역사라 11 페이지 / 전적]
무덤 자리를 잡으려고, 산지(山地)를 실지(實地)로 가서 보고 조사(調査)함
답산(踏山)[장씨부인역사라 11 페이지 / 전적]
무덤 자리를 잡으려고, 산지(山地)를 실지(實地)로 가서 보고 조사(調査)함
답서(答書)[무제(양신택졍하여) 8 페이지 / 전적]
답장
답졍기[상사곡가사(상곡가사) 6 페이지 / 전적]
답청기(踏靑期)에. 답청하는 시기에. ‘답청(踏靑)’은 3월 잠짓날 들에 나가 풀을 밟는 풍습을 말함.
답청(踏靑)[과부가(寡婦歌) 3 페이지 / 전적]
봄에 푸릇푸릇한 풀을 밟으면서 거니는 것.
답청(踏靑)[송강집(松江集二)2 52 페이지 / 전적]
청명(淸明)날에 산과 들에 나가 노는 것을 이름.
답청(踏靑)[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61 페이지 / 전적]
「踏靑」-위에 나타나 있음.
답청(踏靑)[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청명절에 교외를 거닐며 자연을 즐기던 일.
답청(踏靑)[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청명절에 교외를 거닐며 자연을 즐기던 일.
답청절(踏靑節)[사친가1(思親歌(一)) 4 페이지 / 전적]
3월 삼짇날의 별칭. 삼짇날, 음력 3월 초사흗날.
답파(踏破)[황남별곡(黃南別曲) 4 페이지 / 전적]
① 험한 길이나 먼 길을 끝까지 걸어 나감 ② 너른 지역(地域)을 종횡(縱橫)으로 두루 걸어서 돌아다님.
닷쳐오이[용문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닥쳐오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