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대전가사(大全歌辭)[경화가(警和歌) 25 페이지 / 전적]
『동경대전』과『용담유사』를 말함.
대전통편(大典通編)[거창가 15 페이지 / 전적]
조선조 22대 정조(正祖)의 명을 받아 김치인(金致仁) 등이 편찬한 법전(法 典).
대전통편(大典通編)[거창가 15 페이지 / 전적]
조선조 22대 정조(正祖)의 명을 받아 김치인(金致仁) 등이 편찬한 법전(法 典).
대전통편(大典通編)[거창가라 19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김치인이 왕명에 따라 편찬한 책.'경국대전', '대전속록', '대전후속록', '수교집록', '속대전'을 한데 모은 것이다.6권 5책.
대전통편(大典通編)[아림가(娥林歌) 20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김치인이 왕명에 따라 편찬한 책. '경국대전', '대전속록', '대전후속록', '수교집록', '속대전'을 한데 모은 것이다. 6권 5책.
대전통편(大典通編)[가사소리 13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법전(法典).
대전통편(大典通編)[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3 페이지 / 전적]
『경국대전(經國大典)』ㆍ『대전속록(大典續錄)』ㆍ대전후속론(大典後續論)ㆍ수교집록(受敎敞)ㆍ『속대전(續大典)』을 한데 모아 이룬 책. 조선(朝鮮) 정조(正祖)의 명을 받아 김치인(金致仁)이 편집(編輯)했음. 6권5책.
대점(大帖)[ 1 페이지 / ]
한재. 담양군 대전면 대치리 한재 마을의 옛날 이름임.
대접(待接)[일회심곡(一回心曲) 6 페이지 / 전적]
마땅한 예로써 대함.
대접세도(待接勢道)[남매상별가라(남매별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정치상의 권세를 예로써 대함.
대정(大鄭)[송강집(松江集二)2 210 페이지 / 전적]
정언지(鄭彦智)를 이름.
대정(大鼎)[화전가1 10 페이지 / 전적]
큰 솥,
대정(大鼎)[화전가2 10 페이지 / 전적]
큰 솥,
대정관(大正館)[셔유곡 11 페이지 / 전적]
1912년 개관한 최초의 일본인 전용 극장으로 경성부 앵정정(櫻井町) 정목(町木) (현재 서울특별시 중구 인현동 1가 26번지)에 있었음.
대정수(大定數)[해몽가라(몽가라) 5 페이지 / 전적]
주역 괘의 대정수는 음양의 변화를 낳고 귀신의 작용을 일으키는 수임. 하도의 총수 55와 낙서의 총수 45를 합하여 둘로 나누어 얻은 수 50. 우주의 모든 변화를 나타내는 수로 천수와 지수를 합한 것임.
대정수(大定數)[권학가 9 페이지 / 전적]
사람의 사주에서 뽑아내어 운명이나 길흉 등을 살피는 수.
대정수(大定數)[도덕가 1 페이지 / 전적]
사람의 사주에서 뽑아내어 운명이나 길흉 등을 살피는 수.
대정지수(大定之數)[창덕가2 79 페이지 / 전적]
크게 운수를 정함.
대정지수(大定之數)[창덕가2 80 페이지 / 전적]
크게 운수를 정함.
대제(大祭)[효행가(孝行歌) 5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종묘ㆍ사직ㆍ영녕전에서 지내던 큰 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