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덕업일신 망라사방(德業日新網羅四方)[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8 페이지 / 전적]
덕업이 날로 새로워져 사방을 망라한다. ‘신라’의 국호를 뜻하는 글로, ‘신(新)’은 덕업이 날로 새로워진다(德業日新)는 의미며, ‘라(羅)’는 사방을 모두 휘몰아 들인다는 뜻(網羅四方)이다.
덕용(德容)[축산별곡 7 페이지 / 전적]
덕스러운 용모.
덕용(德容)[개화별곡이라 7 페이지 / 전적]
덕기가 있는 얼굴.
덕원[팔역가(八域歌) 10 페이지 / 전적]
함경남도의 지명
덕원(德源)[북쳔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함경남도 덕원군.
덕원읍(德源邑)[북쳔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함경남도 문천군에 있는 면.
덕유(德裕)[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39 페이지 / 전적]
당(唐)나라 사람 이덕유(李德裕)를 말함, 당 경종(敬宗)때 절서관찰사(浙西觀察使)가 되었으나 제(帝)가 유락(游樂)만을 일삼자 이를 삼가라는 글을 지어 올렸다. 문종(文宗)때 재상으로 천거되었으나 우승유(牛僧儒)의 반대로 되지 못하였다. 우승유와는 계속 대립 갈등하였는데, 후일 당파(黨派)의 분립을 논할 때 ‘이.우의 대립’이라 하여 자주 거론된다. 무종(武宗)때에 회남절도사(淮南節度使)로 있다가 재상으로 발탁되었다
덕유산(德裕山)[옥산가라 7 페이지 / 전적]
경상남도 거창군과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安城面)·설천면(雪川面)의 경계에 솟아 있으며, 북덕유산(향적봉)과 남덕유산(1,507m)으로 나뉨. 최고봉은 향적봉(香積峰:1,614m).
덕유산(德裕山)[인일가라 7 페이지 / 전적]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장수군 계북면과 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 및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사이에 있는 산.
덕은 흠명과 맞아[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76 페이지 / 전적]
순 임금의 덕이 요 임금의 덕과 같다는 말. 《書經 堯典》에 ‘옛날 요임금을 상고해 보건대 공경하고 밝았다.〔欽明〕‘하였음.
덕의지용(德義之勇)[창덕가2 6 페이지 / 전적]
도덕과 의리를 갖춘 용기.혈기지용의 반대의미.
덕의지용(德義之勇)[창덕가2 15 페이지 / 전적]
도덕과 의리를 갖춘 용기.혈기지용의 반대의미.
덕의지용(德義之勇)[창덕가2 6 페이지 / 전적]
도덕과 의리를 갖춘 용기.혈기지용의 반대의미.
덕의지용(德義之勇)[창덕가2 16 페이지 / 전적]
도덕과 의리를 갖춘 용기.혈기지용의 반대의미.
덕인(德人)[헌수가(헌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덕을 지닌 사람.
덕인(德人)[헌수가(헌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덕을 지닌 사람.
덕종(德宗)[한흥가라 55 페이지 / 전적]
조선 세조의 세자(1438~1457). 의경 세자를 성종 2년(1471)에 추존한 묘호이다. 이름은 장(暲). 자는 원명(原明).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즉위 전 20세에 죽었다.
덕종(德宗)[한흥가라 55 페이지 / 전적]
조선 세조의 세자(1438~1457). 의경 세자를 성종 2년(1471)에 추존한 묘호이다. 이름은 장(暲). 자는 원명(原明).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즉위 전 20세에 죽었다.
덕종(德宗)[한흥가라 55 페이지 / 전적]
조선 세조의 세자(1438~1457). 의경 세자를 성종 2년(1471)에 추존한 묘호이다. 이름은 장(暲). 자는 원명(原明).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즉위 전 20세에 죽었다.
덕종(德宗)[한양가라 54 페이지 / 전적]
세조의 장자로 20세에 세상을 떠서 왕위에 오르지 못했다. 성종 2년에 추존(追尊)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