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대택(大澤)[북쳔가 26 페이지 / 두루마리]
큰 연못.
대폐(大弊)[오륜가라 42 페이지 / 전적]
큰 폐해(弊害).
대폐성(大吠聲)[그리져리구경하고 10 페이지 / 전적]
크게 짖는 소리.
대풍(大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2 페이지 / 전적]
「大風歌」- 高祖가 天下를 얻은 뒤에 故鄕인 沛豊에 돌아와 大風歌를 지어 불렀는데「大風起兮雲飛揚 威加海內兮歸故鄕 安得猛士兮守四方」이라 하였음.
대풍(大風)[슈절자탄가 13 페이지 / 전적]
나병(癩病). 나병균(癩病菌)에 의하여 감염되는 만성 전염병. 피부에 살점이 불거져 나오거나 반점 같은 것이 생기고 그 부분의 지각(知覺)이 마비되며 눈썹이 빠지고 손발이나 얼굴이 변형되며 눈이 잘 보이지 않게 된다.
대풍(大風)[슈절자탄가 13 페이지 / 전적]
나병(癩病). 나병균(癩病菌)에 의하여 감염되는 만성 전염병. 피부에 살점이 불거져 나오거나 반점 같은 것이 생기고 그 부분의 지각(知覺)이 마비되며 눈썹이 빠지고 손발이나 얼굴이 변형되며 눈이 잘 보이지 않게 된다.
대풍(大風)[승차선비가(乘車船飛歌) 4 페이지 / 전적]
큰 바람.또는 모진 바람.
대풍기(大風機)[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4 페이지 / 전적]
큰 풀무.
대풍창(大風瘡)[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1 페이지 / 전적]
문둥병. 나병.
대풍창(大風瘡)[호남비결(湖南秘訣) 13 페이지 / 전적]
나병(癩病)'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대하(大廈)[셔유곡 3 페이지 / 전적]
광택(廣宅)(크고 넓은 집).
대학[팔역가(八域歌) 26 페이지 / 전적]
신라의 국학
대학(大學[인여가(引轝歌) 5 페이지 / 전적]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본디 『예기(禮記)』의 한 편(篇)이었던 것을 송의 사마광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고, 그 후 주자(朱子)의 교정으로 현재의 형태로 되었음. 명명덕(明明德)ㆍ지지선(止至善)ㆍ신민(新民)의 세 강령을 세우고, 그에 이르는 여덟 조목의 수양 순서를 들어서 해설.
대학(大學[인여가(引轝歌) 5 페이지 / 전적]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본디 『예기(禮記)』의 한 편(篇)이었던 것을 송의 사마광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고, 그 후 주자(朱子)의 교정으로 현재의 형태로 되었음. 명명덕(明明德)ㆍ지지선(止至善)ㆍ신민(新民)의 세 강령을 세우고, 그에 이르는 여덟 조목의 수양 순서를 들어서 해설.
대학(大學[인여가(引轝歌) 5 페이지 / 전적]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본디 『예기(禮記)』의 한 편(篇)이었던 것을 송의 사마광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고, 그 후 주자(朱子)의 교정으로 현재의 형태로 되었음. 명명덕(明明德)ㆍ지지선(止至善)ㆍ신민(新民)의 세 강령을 세우고, 그에 이르는 여덟 조목의 수양 순서를 들어서 해설.
대학(大學)[자연천의설(自然天意說) 8 페이지 / 전적]
유교 경전 사서(四書) 중의 하나.본래 『예기』의 한 편이었던 것을 송의 사마광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고, 그 후 주자(朱子)의 교정으로 현재의 형태로 되었다.명명덕(明明德)·지지선(止至善)·신민(新民)의 세 강령을 세우고, 그에 이르는 여덟 조목의 수양 순서를 들어서 해설하고 있다.
대학(大學)[청림도사궁을전(靑林道士弓乙傳) 2 페이지 / 전적]
유교 경전 사서(四書) 중의 하나.본래 『예기』의 한 편이었던 것을 송의 사마광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고, 그 후 주자(朱子)의 교정으로 현재의 형태로 되었다.명명덕(明明德)·지지선(止至善)·신민(新民)의 세 강령을 세우고, 그에 이르는 여덟 조목의 수양 순서를 들어서 해설하고 있다.
대학(大學), 혹문(或問), 삼강령 팔조목(三綱領八條目)[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60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사서(四書)의 하나. 원래는 예기(禮記)의 한 편(篇)으로 학문의 근본 의의를 제시한 글인데, 삼강령(三綱領)과 팔조목(八條目)으로 되었음, 대학의 장구(章句)로서, 명명덕(明明德), 친민(親民), 지어지선(止於至善)의 세 가지와 격물(格物), 치지(致知), 성의(誠意), 정심(正心), 수신(修身), 제가(齊家), 치국(治國), 평천하(平天下)의 여덟 가지.
대학(大學)에 이른 도는 명명기덕(明明其德) 하여 내어 지어지선(至於至善) 아닐런가.[권학가 9 페이지 / 전적]
「대학(大學)」의 삼강령(三綱領)인 “대학의 도는 명덕을 밝히는 데 있고, 백성을 새롭게 하는 데 있고, 지선에 그치는 데 있다(大學之道 在明明德 在新民 在止於至善)”는 구절을 끌어 쓴 내용이다.
대학(大學)에 이른 도는 명명기덕(明明其德) 하여 내어 지어지선(至於至善) 아닐런가.[도덕가 1 페이지 / 전적]
「대학(大學)」의 삼강령(三綱領)인 “대학의 도는 명덕을 밝히는 데 있고, 백성을 새롭게 하는 데 있고, 지선에 그치는 데 있다(大學之道 在明明德 在新民 在止於至善)”는 구절을 끌어 쓴 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