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대척(對蹠)[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16 페이지 / 전적]

어떤 사물(事物)(현상(現狀))과 어떤 사물(事物)(현상(現狀))을 견주어 볼 때 서로 정반대(正反對)가 됨.

대척(對蹠)[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16 페이지 / 전적]

어떤 사물(事物)(현상(現狀))과 어떤 사물(事物)(현상(現狀))을 견주어 볼 때 서로 정반대(正反對)가 됨.

대척(對蹠)[대비훈민가 10 페이지 / 전적]

어떤 사물(事物)(현상(現狀))과 어떤 사물(事物)(현상(現狀))을 견주어 볼 때 서로 정반대(正反對)가 됨.

대척(對蹠)[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정 반대가 됨.

대척(對蹠)[자소가(소가) 5 페이지 / 전적]

어떤 사물과 어떤 사물을 견주어 볼 때 서로 정반대(正反對)가 됨.

대척참상(大慽慘喪)[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참척(慘慽)의 슬픔과 혈육의 죽음. 참척(慘慽)은 자식이 부모보다 먼저 죽은 것을 말함.

대척참상(大慽慘喪)[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참척(慘慽)의 슬픔과 혈육의 죽음. 참척(慘慽)은 자식이 부모보다 먼저 죽은 것을 말함.

대척참상(大慽慘喪)[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1 페이지 / 전적]

참척(慘慽)의 슬픔과 혈육의 죽음. 참척(慘慽)은 자식이 부모보다 먼저 죽은 것을 말함.

대천지(大天地)[추월감 1 페이지 / 두루마리]

넓고 넓음.

대청도[팔역가(八域歌) 15 페이지 / 전적]

옹진군 백령면 대청리

대체(大體)[조심가라 21 페이지 / 전적]

일이나 내용의 기본이 되는 큰 줄거리로 여기서는 사람이 해야 할 큰 도리를 의미함.

대체(大體)[조심가라 21 페이지 / 전적]

일이나 내용의 기본이 되는 큰 줄거리로 여기서는 사람이 해야 할 큰 도리를 의미함.

대초(大招)[석천집(石川集二-四)2-4 122 페이지 / 전적]

中國 戰國時代의 文人 屈原이 지은 賦.

대추( 大秋)[ 1 페이지 / ]

면앙정이 있는 봉산면 대추리에는 대추대大秋마을. 도고都古마을. 곡정曲亭마을등 3개 마을이 있는데 아마도 이곳을 지칭한 듯.

대춘(大春)[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11 페이지 / 전적]

「大春」―春은 椿과 같음. 莊子逍遙遊에「上古有大椿者 以八百歲爲春 八百歲爲秋」라 하였음.

대충(對冲)[평지행룡(平地行龍) 2 페이지 / 전적]

대립하여 충돌하는.

대충(對冲)[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2 페이지 / 전적]

대립하여 충돌하는.

대치마소[김대비훈민가(김비훈민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대(對)하지 마소.

대치원[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47 페이지 / 전적]

충남 연기군에 있는 조치원(鳥致院)을 잘못 쓴 것으로 보임.

대택(大澤)[대동가(동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큰 못.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