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대호(大呼)[삼강오륜가 서 13 페이지 / 전적]
크게 부르는 것.
대호(大呼)[제면암최선생익현동업기비봉 1 페이지 / 전적]
크게 부르는 것.
대호(大戶)[합강정가(合江亭歌) 11 페이지 / 전적]
① 살림이 넉넉하고 식구가 많은 집안. ② 계전법의 다섯 등급 가운데 첫째 등급. 대개 50ha 이상의 땅을 가진 민호를 이른다.
대호(大濩)[츅친서라 12 페이지 / 전적]
상탕(商蕩)의 악무(樂舞)로 여기서는 우순(虞舜)의 악무(樂舞)인 대소(大韶)의 오기(誤記)로 보인다.
대호군(大護軍)[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7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오위(五衛)에 속한 종삼품의 무관 벼슬.
대호부(大豪富)[평지행룡(平地行龍) 2 페이지 / 전적]
큰 세력이 있는 부자.
대호부(大豪富)[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2 페이지 / 전적]
큰 세력이 있는 부자.
대혹(大惑)[자치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크게 반함.
대혹(大惑)[소상팔경가 5 페이지 / 전적]
크게 현혹됨.
대홍(大紅)[동상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도자기의 겉면에 입히는 잿물의 하나. 적홍(赤紅)보다 짙음.
대화(大化)[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26 페이지 / 전적]
「大化」― 四時陰陽의 變化를 말함. 荀子天論에 「四時代御 陰陽大化」란 말이 있음.
대황[석천집(石川集二-二)2-2 229 페이지 / 전적]
해와 달이 뜨고 지는 곳, 또는 하늘을 가리킨다.
대황(大荒)[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99 페이지 / 전적]
「大荒」―온 누리로 즉 人世를 말함.蘇軾의 湖州韓文公碑에「翩然被髮下大荒」의 句가 있음.
대황교[팔역가(八域歌) 47 페이지 / 전적]
수원 도호부 영내에 있는 다리
대효[팔역가(八域歌) 47 페이지 / 전적]
큰 효자
대효(大孝)[계녀사라 5 페이지 / 전적]
지극한 효성이나 효자.
대효(大孝)[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53 페이지 / 전적]
「大孝」- 中庸에 「舜其大孝也與」라 하였고 孟子 萬章篇에 「大孝終身 慕父母 五十而慕者 予於大舜 見之矣」라 하였음.
대효(大孝)[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7 페이지 / 전적]
지극한 효도. 또는 지극한 효자.
대효(大孝)[효행가(孝行歌) 7 페이지 / 전적]
지극한 효도, 지극한 효자.
대효(大孝)[대효가(大孝歌) 1 페이지 / 전적]
지극한 효도, 지극한 효자.